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산상의 노래 조지훈 정리 및 해제 현대시 산상의 노래 조지훈 정리 및 해제 은은히 울려오는 종소리 => 일제시대 동안 약해진 생명력을 나타냄. => 하지만 종소리를 듣고 희망, 생명력이 재생함. => 은은히 울린다는 표현은 확산된다는 이미지 ​ 2연 : 광복을 맞이한 감격 ​ 이제 눈감아도 오히려 꽃다운 하늘 => 화자의 염원이 이루어진 상황이라 죽어도 여한이 없음. => 광복을 맞이한 현실을 꽃다운 하늘로 표현 내 영혼의 촛불로 어둠 속에 나래 떨던 샛별 => 이제 광복의 시대가 왔으니 두려움과 불안에 떨던 과거에서 벗어나라고 말함. => 어둠은 부정적 현실을 뜻하므로 밤과 동일한 이미지 ​ 3연 : 염원을 이루어 부정적 상황을 벗어남 ​ 환히 트이는 이마 우 => 밝음 떠오르는 햇살은 시월상달의 꿈과 같고나 => 바라던 현실이 도래함..
고전문학 집장가 정리 및 해제 고전문학 집장가 정리 및 해제 춘향전... 잡가... 춘향이가 집장으로부터 고통을 겪고 있는 상황을 잘 표현한 작품.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집장 군노 거동을 봐라 집장 군노 : 곤장을 치는 관리 => 판소리 사설의 말투, 구어체 춘향을 동틀에다 쫑그라니 올려 매고 형장을 한아름 듸립다 덥석 안아다가 춘향의 앞에다가 좌르르 펄뜨리고 => 춘향이를 매질하려는 모습을 묘사 좌우 나졸들이 집장 배립하여 분부 들주어라 여쭈어라 => 집장이 춘향에게 할 말이 있으면 하라고 함 바로바로 아뢸 말씀 없소 사또 안전에 죽여만 주오 => 죽음을 각오한 춘향의 말, 상남자(여자) ㄷㄷ 집장 군노 거동을 봐라 => 반복을 통해 운율 형성, 사건 진행에 따른 이야기를 구분 짓는 기능 형장 하나를 고르면서 이놈..
국어 문장의 짜임 국어 문장의 짜임 1. 구와 절 1) 구(句) : 어절 몇 개가 모여 하나의 문법 단위를 이룸. 예) 영미의 입술은 빨갛다. 저 코스모스가 아주 아름답다. 2) 절(節) : 어절 몇 개가 모여 하나의 의미 단위를 이룸. 예) 선생님은 현지가 모범생임을 알았다. ☆(주의) 구(句)와 절(節)의 구분’ 구(句)는 ‘주어-서술어’ 관계를 이루지 않으나 절(節)은 ‘주어-서술어’ 관계를 이룸 예) 새 차가 좋다. 영희는 매운 음식을 잘 먹는다. 문제 1) 다음 밑줄 그은 부분이 구인지 절인지 구분하시오. ② 날씨가 매우 춥다. ② 우리는 민희가 합격하기를 기원한다. ③ 토끼는 앞발이 짧다. 2. 홑문장과 겹문장 1) 홑문장 : 주어와 서술어가 각각 하나씩 있는 문장.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 이루어져 있는..
시 문학의 기본 개념 - 정서, 태도, 이미지, 표현, 운율,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완벽 정리 시 문학의 기본 개념 - 정서, 태도, 이미지, 표현, 운율,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완벽 정리 [시의 기본] - 상황: 시의 화자나 시적 대상이 처해 있는 형편, 정황, 분위기 ex) 이별, 부재, 기다림, 시련과 고통, 가난, 절망스러운 현실 정서: 시적화자가 특정한 상황 속에서 느끼는 감정, 기분 ex) 감탄, 사랑, 행복, 즐거움, 희망, 동경, 만족, 슬픔, 한, 절망, 외로움, 분노, 좌절, 고통, 허무 태도: 시적 화자가 특정한 상황이나 시적 대상에 대해 보이는 심리적 자세 또는 대응 방식 ex) 예찬적, 의지적, 비판적, 반성적, 체념적, 달관적, 관조적, 고백적, 낙관적, 비관적 [이미지의 종류] 긍정적 이미지, 부정적 이미지 감각적 이미지 ex)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미각적, 촉..
소설의 기본 개념 정리 - 인물, 시점, 갈등, 구성, 배경, 문체 정리 ​ ​ 소설의 기본 개념 정리 - 인물, 시점, 갈등, 구성, 배경, 문체 정리 [소설의 인물] 1) 인물의 유형 (1) 성격변화에 따라 평면적 인물: 성격이 변하지 않는 인물 입체적 인물: 성격이 변하는 인물 (2) 역할에 따라 주동인물: 사건을 주도적으로 이끌면서 작가가 표현학고자 하는 주제를 실천하는 인물 반동 인물: 주동 인물과 대립하며 갈등을 일으키는 인물 (3) 성격에 따라 전형적 인물: 어떤 사회, 계층이나 집단의 사람들이 지니는 보편적인 성격을 띤 인물 개성적 인물: 특정한 계층의 보편적 성격보다는 개인의 독자적 성격을 뚜렷이 지니고 있는 인물 [인물의 심리 및 태도] 인물들 간의 대화를 통해 인물의 심리나 태도를 알 수 있음 인물의 표정, 습관 등의 묘사를 통해 심리나 태도를 알 수 있음..
한글 맞춤법 의존 명사와 조사 구분과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 의존 명사와 조사 구분과 띄어쓰기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전제 1) '한 단어 안에서' 한 형태소 안으로 이해해야 한다. 전제 2) '뚜렷한 까닭없이 나는 된소리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소쩍새 어깨 오빠 으뜸 아끼다 기쁘다 깨끗하다 어떠하다 해쓱하다 가끔 거꾸로 부썩 어찌 이따금 2.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산뜻하다 잔뜩 살짝 훨씬 담뿍 움찔 몽땅 엉뚱하다 제13항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ㄱ ㄴ 딱딱 딱닥 꼿꼿하다 꼿곳하다 쌕쌕 쌕색 놀놀하다 놀롤하다 씩씩 씩식 눅눅하다 눙눅하다 똑딱똑딱..
이육사-절정 정리 및 해제 이육사-절정 정리 및 해제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냉혹한 현실, 일제강점기, 채찍 : 일제의 탄압 마침내 북방으로 흽쓸려 오다. 수평적 극한의 공간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 수직적 극한의 공간 서릿발 칼난진 그 위에 서다 생존의 극한, 절정의 상황 =>마치 딱 칼 위에 선 느낌이다 => 북방, 고원, 서릿발 칼난진 : 점층법이 사용되었다.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 신에게 의지 할 수도 없고, 일본인에게 살려달라고 빌 수도 없다 (빌고 싶지 않다.)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잠깐의 여유가 허락되는 곳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시상반전(시상전환), 관조적, 차분함, 극한 상황에서 차분한 모습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강철과 같은 겨울속에서 느끼는 황홀과 비극적 상황에 대한 ..
김영랑 - 모란이 피기까지는 정리 및 해제 김영랑 - 모란이 피기까지는 정리 및 해제 이 작품은 1930년대 시문학파의 경향을 잘 보여 주는 시로, 희망과 소망 등을 상징하는 ‘모란’에 대한 애정이 아름 다운 시어와 부드러운 어조를 통하여 절묘하게 묘사되어 있다. 한글 파일을 원하시면 카페에서 받아가세요. https://cafe.naver.com/koreanlaboratory/121 모란이 피기까지는 모란: 화자가 기다리는 대상, 소망, 보람, 삶의 가치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봄: 모란이 피는 시기, 소망이 이루어지는 계절, 긍정적 아직: 화자의 기다림은 숙명적임을 암시함.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뚝뚝: 음성상징어를 사용해 모란이 떨어지는 모습을 감각적으로 묘사함. 상실감을 더 생생하게 표현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