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공통국어1 천재 김 진달래꽃 김소월 정리 및 해제 공통국어1 천재 김 진달래꽃 김소월 정리 및 해제      나 보기가 역겨워가실 때에는=> 전체적으로 3음보의 율격, 그러나 행에 따라 호흡의 속도는 다르다.가실 때에는 : 이별의 상황을 가정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순종과 체념의 자세, 반어적 표현 - 내면에 엄청난 고통=>-'우리다' 반복, 각운 형성영변에 약산=> 구체적 지명을 통해 향토적 분위기를 자아냄.진달래꽃=>시적 화자의 분신, 임에 대한 원망과 슬픔, 사랑과 헌신, 순종의 상징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진달래꽃을 뿌려 임의 앞길을 축복함=>부처에게 꽃을 뿌리며 공덕을 기리는 '산화공덕'과 관련됨.가시는 걸음걸음놓인 그 꽃을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자기희생적 태도, 숭고한 사랑을 드러냄=>역설적 표현 : 임이 떠나지 않기를 바..
공통국어1 천재 김 나희덕 땅끝 정리 및 해제 공통국어1 천재 김 나희덕 땅끝 정리 및 해제  땅끝- 나희덕  산 너머 고운 노을을 보려고어린 시절의 이상, 꿈, 희망과 환상 그네를 힘차게 차고 올라 발을 굴렀지. 꿈을 향한 몸부림노을은 끝내 어둠에게 잡아먹혔지.꿈과 이상의 좌절 나를 태우고 날아가던 그넷줄이그넷줄 : 화자의 떨림, 즉 꿈이 좌절된 후의 위태로운 삶의 불안과 절망감을 투사한 감정 이입의 대상으로 기능하고 있다. 오랫동안 삐걱삐걱 떨고 있었어. 꿈이 사라져 버린 데 대한 두려움▶1연 : 과거 -어린 시절의 회상 : 먼 곳에 대한 동경 속에 살았던 시절  어릴 때는 나비를 좇듯이상, 꿈, 환상 아름다움에 취해 땅끝을 찾아갔지.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한반도 최남단 마을. 이 부분에서는 ‘환상 속의 아름다운 곳’을 의미함 아름다움..
공통국어1 비상 강 백석 수라 정리 및 해제 공통국어1 비상 강 백석 수라  정리 및 해제   해제 : 이 시는 거미 가족의 모습을 통해 붕괴된 가족 공동체의 아픔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거미 한 마리가 방바닥에 내려오자 화자는 무심히 쓸어버린다. 이어 어미 거미와 갓 알에서 깨어난 새끼가 차례로 나타나자 화자는 ‘가슴이 짜릿’해지고, ‘가슴이 메이’면서 거미 가족을 위하는 마음으로 그들을 밖으로 쓸어 내며 슬퍼한다. 화자는 가족의 해체와 이산이라는 비극적인 상황이 벌어졌던 1930년대 우리 민족의 상황을 ‘거미 일가’를 통해 보고 있기에 큰 슬픔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시인이 보기에 당시 우리 사회는 참담한 비극의 현장, ‘아수라(阿修羅)’와 같은 세계였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 시는 거미 가족의 모습을 통해 해체된 가족 공동체의 아픔을..
봄 - 이성부 정리 및 해제 봄 - 이성부 정리 및 해제 기다리지 않아도 오고 => 계절이 돌아오는 것처럼 봄은 당연히 오게 되어 있다. => 봄의 돌아옴에 대한 당위성, 자연의 섭리 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 => 절망적인 상황에 온다. => 의인법을 사용한다 - '봄'을 의미함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어디 뻘밭 구석이거나 썩은 물웅덩이 같은 데를 기웃거리다가 => 부정적 현실 상황을 상징 한눈 좀 팔고, 싸움도 한판 하고 지쳐 나자빠져 있다가] => '봄'이 오기까지의 시련과 역경 다급한 사연 들고 달려간 바람이 => '바람'은 각성을 촉구하는 역할, => '다급한 사연'은 '봄'이 오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 흔들어 깨우면 눈 부비며 너는 더디게 온다 더디게 더디게 마침내 올 것이 온다. => 봄의 도래..
중3 천재 박) 김춘수 - 꽃 정리 및 해제 중3 천재 박) 김춘수 - 꽃 정리 및 해제 대표사진 삭제 © monstercritic, 출처 Unsplash 중3 천재 박) 김춘수 - 꽃 정리 및 해제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 '나'가 '그'를 인식하기 전 => 이름을 불러 준다는 것은 대상을 인식하고 의미를 주는 행위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 불러주기 전에는 의미가 없는 존재 1연 : 존재를 인식하기 전의 무의미한 존재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 '나'가 '그'를 인식하였을 때 => 의미를 부여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 의미가 있는 존재가 되었음. 2연 : '나'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의미있는 존개가 되었음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중2 국어 미래엔 넌 바보다 정리 및 해제 중2 국어 미래엔 넌 바보다 정리 및 해제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중2 국어 미래엔 넌 바보다 정리 및 해제 [씹던 껌을 아무 데나 퉤, 뱉지 못하고 종이에 싸서 쓰레기통으로 달려가는 너는 참 바보다.] => 쓰레기를 아무 데나 버리지 않는 '너'의 모습 => 생활 태도가 바름. [ 쏙 빠져 나가면 금방일 것을 비잉 돌아 교문으로 다니는 너는 참 바보다.] => 개구멍으로 다니지 않고 교문으로 다니는 '너'의 모습 => 규칙을 잘 지킴 [얼굴에 검댕 칠을 한 연탄장수 아저씨한테 쓸데없이 꾸벅, 인사하는 너는 참 바보다.] => 지저분해 보이는 사람에게도 예의 바르게 인사하는 '너'의 모습 => 착하고 순수함. [호랑이 선생님이 전근 가신다고 계집애들도 흘리지 않는 눈물을 찔끔거리는 너는 ..
동아 중2 국어 전봇대 - 장철문 정리 및 해제 동아 중2 국어 전봇대 - 장철문 동아 중2 국어 전봇대 - 장철문 정리 및 해제 말라깽이 전봇대는 꼿꼿이 서서 => 전봇대를 마른 사람으로 빗대어 표현 => 의인법 혼자다 골목 귀퉁이에 서서 혼자다 => 서서, 혼자다를 반복해서 운율을 형성함. => 종결 어미 '-다'를 반복해서 운율 형성. 혼자라서 => 혼자라는 단어를 반복 팔을 길게 늘여 => 전봇대와 전봇대 사이에 연결된 전깃줄의 모양을 사람의 팔에 빗대어 표현함 => 의인법 다른 전봇대와 손을 잡았다 팔을 너무 늘여서 줄넘기 줄처럼 가늘어졌다 => 전깃줄이 늘어진 모습을 줄넘기 줄에 직접 빗대어서 표현 => 직유법 밤에는 보이지 않아서 불을 켜 서로 여기라고 손을 든다 => 전봇대에 불이 켜진 모습을 밤에는 보이지 않아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
수능특강 문학 백석 - 여승 정리 및 해제 ​수능특강 문학 백석 - 여승 정리 및 해제 여승은 합장하고 절을 했다. => 시적 대상, 민족의 비극적 삶을 대표하는 인물 가지취의 내음새가 났다. => 여승이 속세를 떠난 지 오래되었음을 나타냄. 내음새: 시적 허용, 후각적 심상 쓸쓸한 낯이 옛날같이 늙었다. => 옛날같이 늙게 보였음, 옛날같이라는 말을 보아 과거에 여승을 만난 적이 있음. 나는 불경처럼 서러워졌다. => 종교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여인의 상황 => 여승에 대한 연민의 정서 1연 : 여승과의 재회 ​ ​평안도의 어느 산 깊은 금점판 나는 파리한 여인에게서 옥수수를 샀다. => 여인과의 만남 => 과거 회상 여인은 나 어린 딸아이를 때리며 가을밤같이 차게 울었다. => 공감각적 심상(청각의 촉각화), 한의 정서 ​2연 : 여승과의 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