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성을 지나다가 배척받고-김병연 안락성 안에 날이 저무는데 안락성=> 공간적 배경, 이름은 '안락성'이지만 화자에겐 전혀 안락하지 않은 곳임(반어법) 날이 저무는데=> 시간적 배경, 화자가 안락성에 머물러야 하는 이유 관서 지방 못난 것들이 시 짓는다고 우쭐대네 관서 지방 양반들의 허장성세를 비판 마을 인심이 나그네를 싫어해 밥 짓기는 미루면서 화자 자신 주막 풍속도 야박해 돈부터 달라네. 빈 배에선 자주 천둥소리가 들리는데 => 배가 고파서나는 '꼬르륵' 소리를 천둥소리에 비유하여 과장적, 해학적으로 표현(청각적 심상) 뚫릴 대로 뚫린 창문으로 냉기만 스며드네. =>열악한 거처, 촉각적 심상 『아침이 되어서야 강산의 정기를 한번 마셨으니 인간세상에서 벽곡의 신선이 되려 시험하는가』 『』=> 화자가 먹은 것은 자연의 정기뿐임(배고픈 상.. 광야 - 이육사 정리 및 해제 이육사 광야 정리 및 해제 까마득한 날에 => 과거, 시간의 흐름 하늘이 처음 열리고 => 천지개벽, 세상의 탄생 어디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닭 우는 소리 : 생명의 기척을 뜻하는 대유법(청각적 심상) 하늘이 처음 열리는 태초의 적막하고 혼돈한 때, ‘닭 우는 소리가 들렸겠느냐?’라고 이해할 수 있음 정적 속에서 열리는 새로운 세계의 장엄함 1연: 태초의 광야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산맥의 형성 과정을 의인화로 표현 => 역동적인 이미지가 보인다.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 => 광야의 신성성 =>우리 국토와 민족의 역사가 지닌 신성성을 드러내 고, 우리 민족의 공간을 침범한 일제의 부당함을 비판함 2연: 광야의 광활함과 신성성 끊임없는 광음을 =>광은은 빛과 그늘이란 뜻으.. 백석 - 선우사 – 함주시초 정리 및 해제 선우사 – 함주시초 – 백석 ⤷반찬 친구에 대한 글 낡은 나조반에 흰밥도 가재미도 나도 나와 앉어서 ⤷① 나주에서 생산된 전통 소반 ② 같은 말 나좃쟁반 : 갈대를 한 자쯤 잘라 묶어 기름을 붓고 붉은 종이로 둘러싸서 초처럼 불을 켜는 나조대를 밑에서 받치는 쟁반 - ①의 뜻인듯 쓸쓸한 저녁을 먹는다. 흰밥과 가재미와 나는 우리들은 그 무슨 이야기라도 다 할 것 같다 우리들은 서로 미덥고 정답고 그리고 서로 좋구나. 우리들은 맑은 물밑 해정한 모래톱에서 하구 긴 날을 모래알만 혜이며 잔뼈가 굵은 탓이다. ⤷맑고 깨긋한, ⤷넓은 모래벌판 ⤷하루의 긴 시간 바람 좋은 한 벌판에서 물닭이 소리를 들으며 단이슬 먹고 나이들은 탓이다. ⤷비오리 오리과에 속하는 물새 ⤷[북한어] 사람이나 생물에 유익하다고 생각되는.. 15개정 고등 국어 천재(박) 교과서 6~10단원 15개정 고등 국어 천재(박) 교과서 6~10단원 서동요 향찰 표기 정리 서동요 향찰 표기 정리 [서동요] ☆ 형식 : 4구체 향가 ☆ 향찰문자로 기록한 향가 善 化 公 主 主 隱 착할 선 될 화 귀인 공 임 주 임 주 숨길 은 他 密 只 嫁 良 置 古 남 타 그윽할 밀 다만 지 시집갈 가 좋을 랑 둘 치 옛 고 薯 童 房 乙 마 서 아이 동 방 방 새 을 夜 矣 卯 乙 抱 遣 去 如 밤 야 어조사 의 토끼 묘 새 을 안을 포 보낼 견 갈 거 같다 여 한자검정능력시험 1~8급 급수별 한자 정리 한자검정능력시험 1~8급 급수별 한자 정리 휴대하기 좋은 자료 입니다. 8급 한자 校 학교 교 敎 가르침 교 九 아홉 구 國 나라 국 軍 군사 군 金 쇠 금 南 남녘 남 女 여자 녀 年 해 년 大 큰 대 東 동녘 동 六 여섯 륙 萬 일만 만 母 어미 모 木 나무 목 門 문 문 民 백성 민 白 흰 백 父 아비 부 北 북녘 북 四 넉 사 山 뫼 산 三 석 삼 生 날 생 西 서녘 서 先 먼저 선 小 작을 소 水 물 수 室 집 실 十 열 십 五 다섯 오 王 임금 왕 外 밖 외 月 달 월 二 두 이 人 사람 인 一 한 일 日 해 일 長 길 장 弟 아우 제 中 가운데 중 靑 푸를 청 寸 마디 촌 七 일곱 칠 土 흙 토 八 여덟 팔 學 배울 학 韓 나라 이름 한 兄 맏 형 火 불 화 7급 한자 家 집 가 歌 노래 가.. 김기택 - 사무원 정리 및 해제 김기택 사무원 이른 아침 6시부터 밤 10시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간접화법 - 화자의 감정을 배재하고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그는 의자 고행을 했다고 한다. ➥매일매일 반복되는 힘겨운 업무 - 한 사무원의 일상을 풍자적으로 표현한 말 / 고행 : 육신을 괴롭히고 고뇌를 견뎌 내는 수행(修行) ➥ : 하루 종일 앉아서 근무하는 사무원의 모습 ➥절에서, 음식을 먹는 일. - 한 사무원의 일상을 풍자적으로 표현한 말 ➥ : 제대로 된 식사를 할 여유도 없이 단지 끼니를 때울 뿐인 점심시간 그가 화장실 가는 것을 처음으로 목격했다는 사람에 의하면 놀랍게도 그의 다리는 의자가 직립한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업무에 관한 전화 통화 내용을 빗댄 것(한 사무원의 일상을 풍자적으로 표현한 말) ➥ :.. 김유정 - 만무방 정리 및 해제 ▷갈래 단편 소설 ▷배경 시간적 - 1930년대 가을 공간적 - 강원도 산골 마을 ▷시점 작가 관찰자 시점 ▷성격 사실적, 반어적, 해학적, 풍자적 ▷문체 간결체, 비속한 구어체, 판소리 사설의 문체 ▷의의 농촌의 궁핍상을 심도 있게 드러낸 소설 ▷주제 식민지 농촌 사회에 가해지는 상황의 가혹함과 그 피해 구성 ▷발단 한가롭게 송이 파적을 다니는 응칠 ▷전개 응오네 벼를 도둑맞은 사실을 듣게 되는 응칠 ▷위기 도둑을 잡기 위해 잠복하는 응칠 ▷절정 도둑이 바로 동생이었음을 알고 어이가 없어 망연자실하는 응칠 ▷결말 황소 훔칠 것을 거절하는 동생을 몽둥이질하여 등에 업고 내려오는 응칠 등장인물 ▷응칠 → 원래는 성실한 농민이었으나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도박과 절도로 일확 천금의 허황한 꿈을 꾸는 인물 ▷.. 이전 1 ··· 3 4 5 6 7 8 9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