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

중세 국어의 특징 1.국어사의 시대 구분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 ↑ ↑ ①고려건국 ②임진왜란 ③갑오개혁(1894) ①신라의 삼국 통일로 경주 지방의 말을 중심으로 통일됨-현대 국어의 근간이 됨. 그러나 고려의 건국으로 중앙어가 이동(경주 중심어->개성 중심어) ②고려 건국과 함께 중세국어 시작됨. ‘훈민정음’ 창제를 기점으로 ‘전기 중세국어’와 ‘후기 중세국어로 나눔. 조선 개국은 중앙어의 변동을 가져오지 않음. 2.표기상의 특징 (1)‘ㆆ, ㅸ, ㅿ, ㆁ, ㆍ’사용 음운 소멸시기 변천과정 ㆆ(여린 히읗)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소멸 ㅸ(순경음 비읍)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ㅂ>ㅸ>오/우/φ 예)돕아->도ᄫᅡ>도와 ㆅ(쌍히읗)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ㆅ>ㅋ, ㅆ 예)ᅘᅧ다..
국어 품사 정리 Ⅰ. 품사 : 단어들을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갈래를 지어 놓은 것. 이 품사는 문장 속에서 단어가 담당하는 기능, 문장 속의 일정한 자리에서 단어가 보이는 형태, 그리고 단어가 나타내는 의미를 기준으로 나눔. 1.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와 결합할 수 있으며, 형태의 변화가 없다. 조사와 결합하여 주어, 목적어, 보어, 관형어, 부사어, 서술어 등으로 기능할 수 있다. (1) 명사 :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가리키는 단어 (예) 사람 열 명이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넜다. ★ 사용 범위에 따라 - 고유 명사 / 보통 명사 자립 여부에 따라 - 자립 명사 / 의존 명사 (바, 것), 의존 명사는 반드시 그 앞에 꾸며 주는 말이 있어야만 문장에 쓰일 수 있음. ※ 유의해야 할 것들 1. 의존 명사..
대구법과 통사구조의 반복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 오늘은 많은 학생들이 헷갈려 하는 대구와 통사구조의 정확한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글을 씁니다. ​ 그럼 같이 알아볼까요? 대구법 뜻 -비슷하거나 동일한 문장 구조를 짝을 맞추어 늘어놓는 표현법이다. -비슷한 어조를 가진 어구를 짝 지어 나타내어 표현의 효과를 높이는 수사법. -가락이 비슷한 구절을 나란히 늘어놓아 병행의 아름다움과 대립의 흥미를 주어서 문장을 변화있게 하는 방법이다. 특징 -대구는 어조가 비슷한 문구를 나란히 두어 문장의 변화와 안정감을 주는 표현법이다. 대우법(對偶法)·대치법(對峙法)·균형법이라고도 하며, 앞뒤 내용이 서로 반대되는 대조법과는 다르다. -대구는 앞과 뒤가 비슷한 형태를 갖는 것을 말하며, 구절을 맞세워 표현하는 방법이다. 말의 가락이 비슷한 구절을 대립이..
문장 성분과 주성분 문장 성분 : 주어, 서술어와 같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성분 주성분, 부속성분, 독립 성분으로 나눌 수 있음. 주성분 : 문장을 이루는 데 주된 골격이 되는 성분(필수 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가 있음. 주어 : 문장에서 동작 또는 상태나 성질 등의 주체를 나타내는 문장 성분 특징 : 1. 주로 '체언 + 주격 조사 (이/가, 께서, 에서) 2. 주격 조사 대신 보조사(은/는, 도, 만 등)가 쓰이기도 함. 3. 문장에서 주어가 명확한 경우에는 생략 가능함. ex) 나비가 날아간다. ex) 이사회에서 나를 임명헀다. 서술어 :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 또는 상태나 성질 등을 풀이하는 문장 성분 특징 : 동사, 형용사, '체언+서술격 조사(이다)'로 나타냄. 경우에 따라 목적어,..
역설법과 반어법 구분 오늘은 많은 학생들이 헷갈려 하는 반어와 역설의 정확한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글을 씁니다. ​ 그럼 같이 알아볼까요? ​ ​ 역설 ​ -이치에 어긋나거나 모순되는 진술을 통해 진실을 표현하는 방법 ​ -표면적으로는 모순되거나 부조리한 것 같지만 그 표면적인 진술 너머에서 진실을 드러내고 있는 수사법이다. ​ -겉으로 보기에는 모순되고 부조리하지만, 표면적 진술을 떠나 자세히 생각해 보면 근거가 확실하든지, 깊은 진실을 담고 있는 표현을 뜻한다. ​ ​ 특징 ​ -역설은 표면상으로는 불합리하고 모순되는 듯하나 그 속에 절실한 뜻이 담기도록 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극적인 긴장감을 조성하며 미묘한 정서적 반응을 일깨우는 효과가 있다. ​ -주어나 주제어 또는 전제가 되는 구절과 그것을 풀이하는 부분이 의미상 어..
한글 맞춤법 43항, 45항에 대해서 알아보자.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두말을 이어주는...) 제43항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한 개 차 한 대 금 서 돈 소 한 마리 옷 한 벌 열 살 조기 한 손 연필 한 자루 버선 한 죽 집 한 채 신 두 켤레 북어 한 쾌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두시 삼십분 오초 제일과 삼학년 육층 1446년 10월 9일 2대대 16동 502호 제1실습실 80원 10개 7미터 제45항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쓴다. 국장 겸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대 백군 책상, 걸상 등이 있다 이사장 및 이사들 사과, 배, 귤 등등 사과, 배 등속 부산, 광주 등지 ① ‘겸(兼)’은 한 가지 일 밖에 또 다른 일을 아울러 함을 뜻하는 한자어로, ‘국장 겸 과장’과 같이 명사 사이에도..
서동요 - 훈차 음차 테스트 성서중 내신 서동요 – 훈차 / 음차 파악하기 善 化 公 主 主 隱 소리 뜻 他 密 只 嫁 良 置 古 소리 뜻 薯 童 房 乙 소리 뜻 夜 矣 卯 乙 抱 遣 去 如 소리 뜻
국어 문법 - 문장 성분 정리 1. 문장 성분의 종류 ① 주성분 : 문장의 골격을 이루는 필수적 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② 부속 성분 : 주성분의 내용을 꾸며주는 구실의 수의적 성분. 관형어, 부사어 ③ 독립 성분 : 주성분이나 부속 성분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이 그 문장에서 따로 떨어진 수의적 성분. 독립어 1) 주어 - 문장의 주체를 나타내는 성분. ‘무엇이’에 해당하는 말. 예) 내가 왕이다. 할아버지께서 시골에 계신다. 정부에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2) 서술어 -주어에 관하여 풀이하는 성분. ‘어찌한다, 어떠하다, 무엇이다’에 해당하는 말. 예) 아기가 운다. 하늘이 푸르다. 철수는 학생이다. 토끼는 앞발이 짧다. ☆(주의) 서술어의 자릿수 ⇒ 서술어는 용언의 종류에 따라서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문장 성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