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

소학언해 - 벗의 유형에서 보이는 문법 정리 및 중세 국어의 특징 소학언해 - 벗의 유형 훈민정음과 소학언해의 차이 중세 국어의 문법적 특징
중세 국어의 문법적 특징과 정리 1.국어사의 시대 구분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 ↑ ↑ ①고려건국 ②임진왜란 ③갑오개혁(1894) ①신라의 삼국 통일로 경주 지방의 말을 중심으로 통일됨-현대 국어의 근간이 됨. 그러나 고려의 건국으로 중앙어가 이동(경주 중심어->개성 중심어) ②고려 건국과 함께 중세국어 시작됨. ‘훈민정음’ 창제를 기점으로 ‘전기 중세국어’와 ‘후기 중세국어로 나눔. 조선 개국은 중앙어의 변동을 가져오지 않음. 2.표기상의 특징 (1)‘ㆆ, ㅸ, ㅿ, ㆁ, ㆍ’사용 음운 소멸시기 변천과정 ㆆ(여린 히읗)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소멸 ㅸ(순경음 비읍)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ㅂ>ㅸ>오/우/φ 예)돕아->도ᄫᅡ>도와 ㆅ(쌍히읗)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ㆅ>ㅋ, ㅆ 예)ᅘᅧ다..
중세국어 소학언해 문법 정리 - 효의 시작과 마침 효경편 훈민정음과 문법적인 차이를 위주로 공부하세요. 저의 블로그를 보시면 훈민정음 문법 정리가 있습니다. 원본이 필요하신 분은 댓글에 메일을 남겨주세요.
중세국어 문법 세종어제 훈민정음 문법 정리 중세국어 세종어제 훈민정음에서 보이는 문법에 대해 정리를 해봅시다. 어쩔 수 없이 캡처를 했습니다. 원본이 필요하신 분은 댓글에 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대구 이곡동, 용산동 국어학원 음운의 변동 - 교체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유음화) 음운의 변동 => 음운이 놓이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을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 국어에서 음운의 변동은 교체, 탈락, 축약, 첨가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교체는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것이고, 탈락은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것이다. 축약은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것이고 첨가는 없던 음운이 새로 더해지는 것이다. ​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우리말은 음절 말에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일곱 자음만 발음될 수 있다. 따라서 음절 끝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이외의 자음이 올 때 일곱 개 자음 중의 하나로 바뀌어서 발음된다. ​ ex) 앞[압] 꽃[꼳] 숯[숟] ​ 비음화 =>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을 만나 비음 'ㅇ, ..
국어의 변천 - 중세 국어 문법(표기, 음운) 1 국어의 역사 구분 고대 국어 전기 중세 국어 후기 중세 국어 근대 국어 현대 국어 10세기 이전 10~14세기 15~16세기 17~19세기 20세기 이후 삼국 시대 조선 고려 임진왜란(16세기 말) 표에서 보면 훈민정음 창제를 기준으로 하여 시대를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 ​ 표기 중세 국어에서 근대 국어를 지나 현대 국어로 오면서 한글의 표기법은 계속 달라졌다. 훈민정음이 처음 창제되었을 때에는 이어적기를 사용했다. 하지만 오늘날 현대 국어는 단어의 원래 형태를 밝혀 적는 끊어적기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 *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공식적으로 끊어적기를 채택하면서 사용하게 됨 중세 국어 근대 국어 *이어적기(연철)가 주로 사용됨. 사람이 => 사라미 ​ *음절의 종성에 8종성법을 사..
피동표현과 사동표현 능동표현과 피동표현 ⑴능동표현 : 주어가 동작을 자기 힘으로 하는 것을 표현 고양이가 쥐를 잡다. '고양이에 초점' (동작을 하는) ⑶피동표현 : 주어가 다른 주체에 의해 동작을 당하는 것을 표현 쥐가 고양이에게 잡히다 => 동작을 당하는 '쥐'에 초점 만드는 법 (1)파생적 피동문 : 피동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어를 이용하여 만든 피동문 동사의 어간 +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 / 명사 + 피동 접미사 -되다 (2)통사적 피동문 : -아/어지다, -게 되다 철수가 운동화 끈을 풀었다. => 운동화 끈이 철수에 의해서 풀어졌다. 잘못된 피동표현 - 이중 피동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가 결합해 이미 피동이 된 단어에 '아/어지다'가 붙어서 한 번 더 피동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다음중 잘..
수사법 정리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 Ⅰ. 비유법(比喩法)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이를 곧바로 말하지 않고, 그와 비슷한 성질을 가진 다른 현상이나 사실을 끌어대어 표현하는 법. 1. 직유법(直喩法) 등의 말이 뒤따르거나, 따위의 말을 앞에 놓아 는 B와 같다> 또는 와 같은 B> 하는 식의 비유. ․꽃 같이 아름다운 소녀 ․보름달 같은 얼굴 ․유수(流水) 같은 세월 ․푸른 하늘이 홑이불처럼 이 골목을 덮어…… ․먹물을 끼얹은 듯 검은 하늘에…… ․묵은 역사처럼 밤이 내리면, 나의 밤은 가라앉은 잠수함 처럼 고요하다. ․ 인생은 배우와 같다. ․ 물 퍼붓듯 쏟아지는 비…… ․소마냥 느린 걸음 ․정신이 은화(銀貨)처럼 맑다. ․정자의 얼굴이 달덩이같이 피었다.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 * 꽃 : 비유의 대상 - ‘보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