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수능특강 문학 오발탄 정리 및 해제 ■이범선 한국 전쟁 직후 월남 가족인 철호 일가의 궁핍하고 불행한 삶과 몰락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전체 줄거리 철호는 전쟁 직후 가족과 함께 월남하여 계리사 사무실에서 박봉으로 일하며 가족의 부양을 책임지고 있다. 돈이 없어 자신의 치통도 치료하지 못하지만 성실하게 양심적으로 살고자 한다. 철호의 어머니는 남한에 온 이후 한국 전쟁으로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자 그 충격으로 실성하여 “가자!”를 반복적으로 외치며 지내고 있다. 철호의 동생 영호는 전쟁에 참전했다가 돌아온 후 취업을 하지 못하고 살면서 부조리가 만연한 사회 현실에 반감을 가진다. 철호의 아내는 명문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하였으나 전쟁으로 황폐화된 현실 속에 무기력하게 살고 있고, 철호의 여동생 명숙은 양공주로 살며 돈을 벌고 있다. 어느 날..
수능 기출 사자성어 정리 수능 기출 사자성어 정리 초록동색(草綠同色): 같은 처지의 사람과 어울림. 사필귀정(事必歸正): 결국 모든 일은 바른 결과로 돌아감. 상전벽해(桑田碧海): 세상의 모든 일이 엄청나게 변함. 새옹지마(塞翁之馬): 인생의 길흉화복은 늘 변화가 많음. 가렴주구(苛斂誅求):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재물을 억지로 뺏음. 환골탈태(換骨奪胎): 외모가 아름다워 딴 사람처럼 됨. 자중지란(自中之亂): 같은 패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부화뇌동(附和雷同): 소신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감. 자승자박(自繩自縛): 자기의 언행으로 자신이 꼼짝 못하게 됨. 고립무원(孤立無援): 고립되어 도움을 받을 데가 없음. 암중모색(暗中摸索): 어림짐작으로 사물을 알아내려 함. 점입가경(漸入佳境): 일이 점점 더 흥미롭게 돌아감. 구우일..
고전시가 필수어휘 고전시가 필수어휘 원본도 첨부합니다. 1.  - 가을 ex) 어느  이른 매 - 월명사, ‘제망매가’ 2. 나리(물) - 시내(물) ex) 새파른 나리여 / 기랑 즈 이슈라. - 충담사, ‘찬기파랑가’ 3. 소반(小盤) - 밥상 ex) 네 다리 소반위에 멀건 죽 한 그릇 - 김삿갓, ‘무제(無題)’ 4. 바 - 바다 ex)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 고려가요, ‘청산별곡’ 5. 졍지 - 부엌 ex)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 고려가요, ‘청산별곡’ 6. 님/곰 - 앞 / 뒤 ex) 덕(德)으란 곰예 받고 복(福)으란 림예 받고 - 고려가요, ‘동동’ 7. 즈 - 모습을 ex)  브롤 즈 디녀 나샷다. - 고려가요, ‘동동’ 8. 즈믄 -..
중세국어문법 총정리 - 국어의 역사 󰋎고대 국어 ●음운 ①자음 󰋎고대 국어 ●음운 ①자음 ㉠예사소리 계열을 기본으로 한 자음 체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된소리 계열은 아직 존재하지 않았고 거센소리만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음절말의 자음들이 음가대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②모음 : 7모음(ㅣ, ㅡ, ㅓ, ㅜ, ㆍ, ㅏ, ㅗ) 체계였을 것으로 추정 ●표기 ①한글 창제 전 우리말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가 없었으므로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는 차자(借字) 표기법이 있었다. ②차자 표기 자료는 향찰, 이두, 구결로 분류된다. 대체로 구체적인 뜻을 지닌 실질 형태소 부분은 한 자의 뜻을 빌려 적고 문법적 기능을 하는 형식 형태소 부분은 한자의 음을 빌려 적었다. ㉠향찰 : 한자의 소리와 ..
수능특강 문학 박인로 - 조홍시가 정리 및 해제 수능특강 문학 박인로 - 조홍시가 정리 및 해제 반중의 조홍감이 좋아도 보인다 => 시상 전개의 매개체, 부재하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상징 유자 아니라도 품음직 하다마는 => 회귤 고사 인용, 뛰어난 효성을 말할 때 사용하는 고사 품어 가 반길 이 없을새 글노 설워하노라 => 화자의 어머니를 뜻함 => 어머니의 부재로 인해 효도를 실천할 수 없는 안타까움이 직접 표출 1수 : 부재하는 부모님에 대한 효심과 그리움 왕상의 이어 잡고 맹종의 죽순 꺾어 검던 머리 희도록 노래자의 옷을 입고 => 효도를 상징, 고사 인용 일생에 양지성효를 증자같이 하리다 => 증자처럼 효도를 실천하겠다는 의지 2수 : 부모에 대한 효도의 의지 만균을 늘여 내어 길게 길게 노를 꼬아 => 큰 쇳덩어리 구만리장천에 가는 해를 잡..
수능특강 문학 백석 - 여승 정리 및 해제 ​수능특강 문학 백석 - 여승 정리 및 해제 여승은 합장하고 절을 했다. => 시적 대상, 민족의 비극적 삶을 대표하는 인물 가지취의 내음새가 났다. => 여승이 속세를 떠난 지 오래되었음을 나타냄. 내음새: 시적 허용, 후각적 심상 쓸쓸한 낯이 옛날같이 늙었다. => 옛날같이 늙게 보였음, 옛날같이라는 말을 보아 과거에 여승을 만난 적이 있음. 나는 불경처럼 서러워졌다. => 종교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여인의 상황 => 여승에 대한 연민의 정서 1연 : 여승과의 재회 ​ ​평안도의 어느 산 깊은 금점판 나는 파리한 여인에게서 옥수수를 샀다. => 여인과의 만남 => 과거 회상 여인은 나 어린 딸아이를 때리며 가을밤같이 차게 울었다. => 공감각적 심상(청각의 촉각화), 한의 정서 ​2연 : 여승과의 첫..
수능특강 문학 용비어천가 정리 및 해석 수능특강 문학 용비어천가 정리 및 해석 불·휘기·픈남·간 바라·매아·니:뮐·쌔곶:됴·코여·름·하나·니 =>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리므로 꽃이 좋고 열매가 많다. => 기초가 튼튼한 나라는 바람(고난, 시련)에 흔들리지 않고 번성해 나갈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냄. :새·미기·픈·므·른·가마·래아·니그·츨·쌔:내·히이·러바·라·래·가나·니 =>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도 그치지 아니하므로 내를 이루어 바다로 흘러간다. => 유서가 깊은 나라는 고난과 시련에도 번성해 나갈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냄. 2장 - 조선 왕조의 발전과 번영 기원 千世(천세)우희 미리定(정)하샨漢水(한수)北(북)에累仁開國(누인개국)하샤卜年(복년)이 가업스시니 => 천대 전부터 미리 정한한양에서어진 덕을 쌓아 나라를 개국하여나라의..
고려가요 정리 고려가요 1. 고려 시대에 평민들이 부르던 노래를 가리키는 것으로, 구전되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문자로 정착됨. 2. 궁중에서 불림 (1) 궁중의 악곡, 잔치 등에서 당악 정재와 대칭되는 속악 정재를 공연하면서 부름 (정재:대궐 안의 잔치 때 하던 춤과 노래) (2) ‘악(樂)’의 개념 - 무릇 악은 풍속의 교화를 이룩하고 공덕을 나타낸다. 음악, 춤, 노래, 놀이의 복합체 (3) 속요가 하층 문화와 깊은 관련을 가지면서 민요의 모습을 많이 가지고 있던 것이, 궁중에서 불리면서 상층 문화로 변모되고 속악 정재의 공연 방식에 따라 개편됨. 따라서 이중적인 성격을 가지게 됨 (증거 - ① 동동, 정석가에서 임금에게 아뢰며 축복하는 사설 한 장을 더보탠 것으로 보임. ② 만전춘 별사의 경우, 궁중 노래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