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특강

수능특강-송인 정리 정지상 - 송인 비 갠 긴 둑엔 풀빛이 짙은데 =>시각적 심상이 보인다. =>자연의 아름다움 =>풀빛이 짙다는 건 이별의 한이 깊다는 뜻, 색채를 통해 슬픔 강조 [기] 강변의 서경 - 희망의 봄빛 ​ 그대 보내는 남포엔 슬픈 노래 울리네 =>지명, 이별의 공간 =>시적화자는 임을 보내는 상황에 처함, 그래서 슬픈 노래가 울림 =>자연은 아름답고 나는 슬프다.(대조) 이별의 슬픔이 더욱 고조 [승] 이별의 정경 - 이별의 슬픔 ​ 대동강 물이야 어느 때 마를 건가 =>대동강 물은 눈물의 이미지, 설의법을 통해 눈물이 마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함. [전] 이별의 한 - 대동강 물의 원망 ​ 해마다 이별 눈물 푸른 강물에 더하는 것을 =>전구(轉句)에서 반전(反轉)하여 이별의 한(恨)을 고조시켜 묘사한 뒤, ..
수능특강-독을 차고 정리 1903-1950. 시인. 대표작 ≪모란이 피기까지는≫. 동아일보사 제공. 사진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내 가슴에 독을 찬 지 오래로다 독=> 저항의지, 순수의지, 순결의지, 대결의지, 자기 방어의 의지 오래로다=> 단호하고 결의에 찬 모습 ​ 아직 아무도 해한 일 없는 새로 뽑은 독 해한 일 없는~ => 자기 방어적인 독 새로 뽑은 독=> 늘 새롭게 독을 뽑음, 결의를 매일 다짐 ​ 벗은 그 무서운 독 그만 흩어 버리라 한다 시적 대상=>벗 그만 흩어 버리라 한다=>세상과 타협을 하라고 함, 벗은 현실 순응주의자, 무기력한 지식인으로 보임. ​ 나는 그 독이 벗도 선뜻 해할지 모른다 위협하고, =>벗이여도 나의 의지를 꺾으려 한다면 적으로 생각하겠다. ​ 1연 : 벗과의 대화(확고한 의지가 보임) ​..
수능특강-상춘곡 정리 상춘곡-정극인 1. 창작 연대와 기록 - 창작 연대는 확실히 알 수는 없다. 단지 정극인이 만년에 고향인 태인으로 물러가 후배를 교육하던 성종 때에 지었으리라 추정할 뿐이다. 이 노래는 창작 당시(성종 때)의 기록이 아니라, 조선 정조(1786) 때 그의 후손 정효목이 기록한 것이다. 2. 내용 - 대자연 속에서 봄 경치를 완상하면서 풍류와 안분지족의 생활을 노래하였다. 3. 의의 - 상춘곡- 송순의 면앙정가 - 정철의 성산별곡으로 이어지는 강호가도의 시풍 형성. 조선 사대부 가사의 첫 작품. 4. 주제 : 봄 경치를 완상하며 안빈낙도를 지향함. ☞강호가도(江湖歌道) 유교적 가치관인 충(忠)에 바탕한 자연 친화의식을 나타낸 작품을 가리킨다. 따라서 자연에 완전히 몰입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조선 ..
수능특강-오백 년 도읍지를 정리 길재 ​ 오백 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를 필마(匹馬)로 도라드니 오백 년 도읍지=> 여기선 고려의 수도를 가르킴 필마=>벼슬이 없는 평범한 사람이 타는 말 ​ 산천(山川)은 의구(依舊)한되 인걸(人傑)은 간 듸 업다 =>산천은 옛 모습 그대로나 옛 뛰어난 인물들은 없다. =>자연과 인간사의 대비가 느껴진다, 대구법을 사용하였다. 인걸=> 고려의 유신들 ​ 어즈버, 태평연월(太平烟月)이 꿈이런가 하노라 =>아아, 태평한 시절이 한낱 꿈인가 하노라 ​ 고려 왕조의 멸망을 슬퍼함(세상살이의 무상함 과 망국의 한) ∙정서-맥수지탄(麥秀之嘆) ∙화자의 정서를 집약하는 시어 : 꿈 ​ ∙대구, 대조법 산천 의구한되 ↔ 인걸 간듸업다 변하지 않음 변함 ▶조선 건국 이후 고려의 유신들은 나라의 멸망을 슬퍼 하..
수능특강-안민가 정리 충담사 ​ (임금께서) 임금[君]은 아비요 신하[臣]는 사랑하는 어미요, 백성[民]은 어리석은 아이라고 생각하신다면 백성이 (임금의) ​사랑을 알 것입니다. =>사랑은 백성을 다스리는 핵심. =>1-4행(기) : 가족 관계에 비유된 군, 신, 민의 도리(위정자의 선정)(‘임금’을 아버지, ‘신하’를 어머니, ‘백성’을 어린 아이로 비유하여, 위정자들이 백성을 자신의 자식을 양육하는 것처럼 사랑으로 보살펴야 백성들이 위정자의 사랑을 알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꾸물대면서 살(주어진 여건에 순응하는) 물생(백성, 대중)들 이를 먹여 다스릴 것입니다. *(백성들이) 이 땅(신라)을 버리고 어디로 가겠는가 한다면 =>백성들이 미련없이 이 땅을 버리고 외방으로 떠나간다면 왕은 그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는 의미. ..
수능특강-원왕생가 정리 원왕생가 - 광덕 신라 문무왕 때 광덕이라는 스님이 '달'을 서방 정토의 사자로 비유하여 그 곳에 귀의하고자 하는 소원을 읊은 노래이다. ​ 달이 어째서 => 달 : 화자의 소원을 전달하는 존재 ​ 서방까지 가시겠습니까 => 서방: 극락세계 ​ 무량수불 전에 ​ 보고의 말씀 빠짐없이 사뢰소서 ​ 1~4행 : '달'이라는 중개 대상에게, 아미타불에게 자신의 뜻을 전해 달라고 청원하고 있다. ​ 서원 깊으신 부처님을 우러러 바라보며 => 맹세 깊으신 부처님께 우러러 ​ 두 손 곧추 모아 => 합장하는 자세, 소원의 간절함을 나타냄. ​ 원왕생 원왕생 => 극락세계에 다시 태어나기를 바라는 마음 ​ 그리는 이 있따 사뢰소서 ​ 5~8행 : 자신의 염원이 서방정토로 왕생하는 데 있음을 합장의 자세로 말하고 있다..
수능특강-구지가 정리 1. 집단의 활동이나 의식(儀式)과 관련된 측면이 많아 의식요, 노동요의 성격을 다분히 지니고 있 다. 즉, 집단 가무의 형태로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2. 고대 가요는 설화 속에 삽입되어 전한다. 이는 고대 가요가 서사적인 이야기를 전달하는 한 부 분이었음을 나타낸다. 그래서 배경 설화의 도움이 없으면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 3. 집단적, 서사적인 내용에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시가로 발전하였다. 5. 가요는 전하지 않고 배경 설화만 전하는 것이 많다. ♤♤♤♤♤♤♤♤♤♤♤♤♤♤♤♤♤♤♤♤♤♤♤♤♤♤♤♤♤♤♤♤♤♤♤♤♤♤♤♤♤♤♤♤♤♤♤♤♤♤♤♤♤♤♤♤♤ 구 지 가(龜旨歌) 龜何龜何(구하구하) 首其現也(수기현야) 若不現也(약불현야) 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어라. 내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