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인로 - 독락당 정리 및 해제 독락당 - 박인로 [핵심정리] 연대 : 광해군 11년(1619) 작자 : 박인로 형식 : 3음보 혹은 4음보를 1행으로 하여 총 123행 최장편 가사 주제 : ① 독락당을 찾아가 이언적을 사모하는 심회와 주변 경치를 읊음. ② 이언적의 유지를 흠모하고 선현(先賢)의 풍모를 기리는 정 출전 : '노계집'권 3 특징: 공간의 이동에 따라 시상 전개, 예찬 한자 성어를 활용해 대상을 예찬 중국 고사를 활용해 대상을 예찬 다양한 표현기법 활용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노계 박인로(1561∼1642)가 만년에 회재 이언적(1491∼1553)이 살던 경주 옥산의 독락당을 찾아갔을 때인 광해 11년(1619)에 지은 모현가사이다. 내용은 늙은 몸으로 독락당에 찾아가서 회재 선생의 모습을 생각하며, 그곳의 뛰어나게 ..
조지훈-승무 정리 승무 조지훈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박사 ⤷‘하얀’의 운율을 고려한 표현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곱게 접어 머리에 오린 모습이 ⤷나비 같구나(은유법 – 고깔을 나비에 비유 / 시각적 이미지 / 앞으로 전개 될 춤 예고) 파르라니 깎은 머리 ⤷시어 조탁 ⤷속세를 떠난 여승의 모습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얇은 비단 = 박사 ⤷‘감추고’의 운율을 고려한 표현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서러움을 느낄 정도로 곱구나(역설법) 빈 대(臺)에 황촉(黃燭)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공간적 배경(텅빈 무대 – 적막감) ⤷시간의 경과(의인법) ⤷시간적 배경(선적인 분위기)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계절적 배경 ⤷오동잎이 달빛을 받아 흔들리는 모습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
천양희-마음의 수수밭 천양희 마음의 수수밭 마음이 또 수수밭을 지난다. 머위 잎 몇 장 더 얹어 ⤷화자의 내면(쉬지 않고 흔들리는 마음 상태)을 의미 ⤷더욱 혼란스러워짐. 뒤란으로 간다. 저녁만큼 저문 것이 여기 또 있다 ⤷화자의 나이를 짐작케 하는 말 개밥바라기별이 ⤷저녁에 서쪽 하늘에 보이는 금성 내 눈보다 먼저 땅을 들여다본다. ⤷하강 아미지. 화자의 어두운 내면과 동일한 이미지 세상을 내려놓고는 길 한 쪽도 볼 수 없다 ⤷새로움을 시작하기에는 늦은 상태, 즉 희망이 없는 삶의 나이 논둑길 너머 길 끝에는 보리밭이 있고 ⤷생의 마지막 지점(?) 보릿고개를 넘은 세월이 있다 ⤷ 가난했던 어린 시절 / 보릿고개 : 지난날, 묵은 곡식은 다 떨어지고 보리는 아직 여물지 않아 농가 생활에서 가장 살기 어려운 음력 4-5월을 이..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정희성 삽: 노동자의 생계 수단 저문 강에 삽을 씻는 행위: 하루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갈 준비를 함. 흐르는 것이 물뿐이랴 우리의 삶의 흐르는 물과 같다는 의미, 즉 노동자의 삶의 흐르는 물처럼 계속 흐르므로 힘든 삶이 반복된다고 할 수 있음. 뿐이랴: 설의법, 같아서: 직유법 우리가 저와 같아서 강변에 나가 삽을 씻으며 하루 일을 마치며 하루의 고단함이나 서러움도 같이 버림. 거기 슬픔도 퍼다 버린다 일이 끝나 저물어 스스로 깊어가는 강을 보며 1,2행에서 ‘강’을 ‘노동자의 삶’과 같다고 했으니 스스로 깊어가는 강은 깊어가는 삶의 애환으로 해석할 수 있음. 쭈그려 앉아 담배나 피우고 담배 한 개비로 마음을 달래고 집에 돌아감→ 현실을 극복하지 못하고 무기력하고 체념적인 태도 ..
이육사-교목 정리 푸른 하늘에 닿을 듯이 세월에 불타고 우뚝 남아서서 차라리 봄도 꽃피진 말아라. 낡은 거미집 휘두르고 끝없는 꿈길에 혼자 설레이는 마음은 아예 뉘우침 아니라. 검은 그림자 쓸쓸하면 마침내 호수 속 깊이 거꾸러져 차마 바람도 흔들진 못해라. 2. 시구 풀이 ① 푸른 하늘에 ~ 남아 서서 : 교목의 의연한 자태. 모질고 험한 세월 속에서 불에 타는 수난을 겪더라도 당당한 의지를 굽히지 않겠다는 심경을 밝히고 있다. ② 차라리 꿈도 꽃피진 말아라 : 단호한 금지형의 어투를 통해 비굴한 삶으로 개인의 안락이나 영화를 누리지는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다. ③ 끝없는 꿈길에 ~ 뉘우침 아니라 : ‘끝없는 꿈길에 ~’는 1연의 ‘푸른 하늘에’와 조응되는 시구로 조국 독립, 해방을 위한 투쟁의 길을 끝없이 걷고자 하는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식민지 상황 인식 ⤷주권상실의 국토(대유법) ⤷‘광복’ 상징 ⤷설의적 염원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희망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희망찬 자유의 현장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 현실과 다른 역설적 상황을 인식 ⤷가리마의 사투리 ⤷향토적 시어 ⤷몽환적 심정으로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침묵을 강요당한 국토(의인법, 돈호법, 대유법) 내 맘에는 나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나와 국토와의 일체감(영탄법)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워라. 말을 해 다오. ⤷네 = 국토 ⤷주권 상실의 현실을 알고도 침묵해야만 하는 것에 대한 자조적 심정 바람은 내 귀에 속..
대구 이곡동, 용산동 국어학원 음운의 변동 - 교체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유음화) 음운의 변동 => 음운이 놓이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을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 국어에서 음운의 변동은 교체, 탈락, 축약, 첨가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교체는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것이고, 탈락은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것이다. 축약은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것이고 첨가는 없던 음운이 새로 더해지는 것이다. ​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우리말은 음절 말에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일곱 자음만 발음될 수 있다. 따라서 음절 끝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이외의 자음이 올 때 일곱 개 자음 중의 하나로 바뀌어서 발음된다. ​ ex) 앞[압] 꽃[꼳] 숯[숟] ​ 비음화 =>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을 만나 비음 'ㅇ, ..
알 수 없어요-한용운 정리 바람도 없는 공중에 수직의 파문을 내이며 고요히 떨어지는 오동잎은 누구의 발자취입니까 오동잎 : 절대적 존재를 깨닫게 하는 자연 현상 , 누구 : 절대적 존재-임 지리한 장마 끝에 서풍에 몰려가는 무서운 검은 구름의 터진 틈으로 언뜻언뜻 보이는 푸른 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지리한 장마 : 깨달음 없는 상태, 무서운 검은 구름 : 부정적 현실 속의 세속적 번뇌와 고난, 푸른 하늘 : 고난 속에서도 다가오는 깨달음(시각적) 꽃도 없는 깊은 나무에 푸른 이끼를 거쳐서 옛 탑 위의 고요한 하늘을 스치는 알 수 없는 향기는 누구의 입김입니까 알 수 없는 향기 : 임의 입김(후각적) 근원은 알지도 못할 곳에서 나서 돌뿌리를 울리고 가늘게 흐르는 작은 시내는 구비구비 누구의 노래입니까 근원은 알지도 못할 곳 :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