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육사 - 청포도 정리 및 해제 내 고장 칠월은 내고장: 회복해야 할 삶의 터전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풍요로운 이미지,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의 상징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 원관념은 포도. 평화로운 삶의 이야기 => 포도가 열린 것처럼 풍성한 삶이 되길 바람, 의태어로 생생히 표현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 쫙 펼쳐진 바다의 모습. ‘푸른 바다’는 손님이 오는 곳으로 희망과 이상의 세계를 뜻함. 의인법 흰 돛단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 손님이 먼 곳에서 오게 해주는 역할, 이상과 현실을 연결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 기다리는 대상, 광복, 고난과 시련을 겪으면서 옴 청포를 입고 찾아온다고 했으니 청포: 푸른 도포, 희망적 이미지 내 그를 맞아 .. 백석 모닥불 정리 및 해제 백석 모닥불 정리 및 해제 새끼오리도 헌신짝도 소똥도 갓신창도 개니빠디도 너울쪽도 짚검불도 가락닢도 머리카락도 헝겊조각도 막대꼬치도 기왓장도 닭의 짗도 개터럭도 타는 모닥불 => 모닥불에 타는 사물들을 열거, 당시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던 보잘것없는 것들이 모닥불에 탐 재당도 초시도 문장 늙은이도 더부살이 아이도 새사위도 갓사둔도 나그네도 주인도 할아버지도 손자도 붓장사도 땜쟁이도 큰 개도 강아지도 모두 모닥불을 쪼인다. => 모닥불을 쬐는 사람들 열거, 신분이나 나이 등에 차이가 있지만 함께 모닥불을 쬠 => 따뜻한 공동체가 느껴진다. => 모닥불을 쬐는 동물들을 열거, 크기, 성장에 차이는 있지만 사람과 함께 불을 쬠 => 평등과 화합의 이미지 강조 모닥불은 어려서 우리 할아버지가 어미 .. 중세 국어의 문법적 특징과 정리 1.국어사의 시대 구분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 ↑ ↑ ①고려건국 ②임진왜란 ③갑오개혁(1894) ①신라의 삼국 통일로 경주 지방의 말을 중심으로 통일됨-현대 국어의 근간이 됨. 그러나 고려의 건국으로 중앙어가 이동(경주 중심어->개성 중심어) ②고려 건국과 함께 중세국어 시작됨. ‘훈민정음’ 창제를 기점으로 ‘전기 중세국어’와 ‘후기 중세국어로 나눔. 조선 개국은 중앙어의 변동을 가져오지 않음. 2.표기상의 특징 (1)‘ㆆ, ㅸ, ㅿ, ㆁ, ㆍ’사용 음운 소멸시기 변천과정 ㆆ(여린 히읗)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소멸 ㅸ(순경음 비읍)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ㅂ>ㅸ>오/우/φ 예)돕아->도ᄫᅡ>도와 ㆅ(쌍히읗) 세조 이후(15세기 중엽) ㆅ>ㅋ, ㅆ 예)ᅘᅧ다.. 중세국어 소학언해 문법 정리 - 효의 시작과 마침 효경편 훈민정음과 문법적인 차이를 위주로 공부하세요. 저의 블로그를 보시면 훈민정음 문법 정리가 있습니다. 원본이 필요하신 분은 댓글에 메일을 남겨주세요. 중세국어 문법 세종어제 훈민정음 문법 정리 중세국어 세종어제 훈민정음에서 보이는 문법에 대해 정리를 해봅시다. 어쩔 수 없이 캡처를 했습니다. 원본이 필요하신 분은 댓글에 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천재 박 정지용 - 향수 정리 및 해제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 공감각적 표현, 청각의 시각화 => 시에 나타난 공감각적 표현을 통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불러일으킴.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후렴구의 기능: 연 구분 및 시 전체에 통일성 부여, 운율 형성, 그리움의 정서 환기 1연: 평화롭고 여유가 느껴지는 고향의 모습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 계절적 배경, 시간이 흐름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 공감각적 표현, 청각의 시각화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벼개를 돋아 고이시는 => 늙은 아버지의 피곤한 모습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2연: 겨울밤의 정경과 늙으신 아버지의 고단한 모습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이 그리워 => 이상 세계, 아름다운 꿈과 소망 함부로 .. 달서구 장기동 맛집 명가 최여사 밥상 점심에 너무 배가 고파서 방문한 맛집 건물이 상당히 깔끔하다. 사실은 맛집인지는 모르겠고 그냥 깔끔해서 갔다. 가면 기본적으로 물을 준다. 메뉴는 다양하게 있는데 일단 메뉴판 찍는 것을 까먹어버렸다. 그러니 pass 된장찌개를 시켰다. 예전엔 이런 거 안 시켰는데... 나도 이제 틀딱이 다 됐나 보다... 이렇게 쌈도 준다. 생각보다 맛있었다. 그래서 앞으로 자주 가야겠다고 생각을 했지만... 이날 이후 아직 한 번도 가지 않았다. 보면 알겠지만 숭늉도 있지만 이건 거른다. 나는 친구가 없다, 배가 고프다, 간단하게 먹고프다 그런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혼자가도 충분히 먹을 수 있다. 물론 혼자 온 사람은 나뿐이었다. 가격은 아마도 7000원인가??? 그리고 혼자.. 공무도하가 정리 및 해석 공무도하가 - 백수 광부의 아내 임아 그 물을 건너지 마오. 公無渡河 임:남편, 물:중심소재=> 이별, 슬픔, 단절, 사랑 등이 담겨 있음. => 임을 만류함. 임은 끝내 그 물을 건너셨네. 公竟渡河 => 임이 떠남.(이별)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墮河而死 => 임의 죽음 가신 임을 어이할꼬. 當奈公何 => 화자의 체념적 어투 =>임과의 이별에 대한 슬픔과 체념 한자 풀이 •公(상대 높임 공) : 그대, 당신, 임 •無(없을 무) : ‘말다’의 뜻으로, 금지의 명령을 나타냄. •渡(건널 도) : 건너다 •河(물 하) : 물 •竟(마침내 경) : 끝내. 마침내 •墮(떨어질 타) : 흽쓸리다. 떨어지다 •而(말 이을 이) : 접속사로 ‘그리하여’의 의미 •當(마땅 당) : 마땅히 •奈(어..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