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특강 문학 박인로 - 조홍시가 정리 및 해제
반중의 조홍감이 좋아도 보인다
=> 시상 전개의 매개체, 부재하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상징
유자 아니라도 품음직 하다마는
=> 회귤 고사 인용, 뛰어난 효성을 말할 때 사용하는 고사
품어 가 반길 이 없을새 글노 설워하노라
=> 화자의 어머니를 뜻함
=> 어머니의 부재로 인해 효도를 실천할 수 없는 안타까움이 직접 표출
1수 : 부재하는 부모님에 대한 효심과 그리움
왕상의 이어 잡고 맹종의 죽순 꺾어
검던 머리 희도록 노래자의 옷을 입고
=> 효도를 상징, 고사 인용
일생에 양지성효를 증자같이 하리다
=> 증자처럼 효도를 실천하겠다는 의지
2수 : 부모에 대한 효도의 의지
만균을 늘여 내어 길게 길게 노를 꼬아
=> 큰 쇳덩어리
구만리장천에 가는 해를 잡아매어
=> 추상적 개념인 시간을 시각화하여 표현
=>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해 소망의 간절함을 표현
북당에 학발쌍친을 더디 늙게 하리라
=> 부모님을 천천히 늙게 하고 싶은 소망을 나타냄
3수 : 부모의 장수를 기원
군봉이 모이신 데 외가마귀 들어오니
군봉 : 2수에 나온 효도가 뛰어난 인물들을 뜻함.
외가마귀 : 화자가 자신을 겸손하게 말함, 까마귀는 효도를 상징하는 새임
백옥 쌓인 데 돌 하나 같다마는
백옥 : 군봉
돌 : 외가마귀
봉황도 비조와 하나의 유이시니 뫼셔 논들 어떠리
=> 효도가 뛰어난 옛 사람들보다 화자 자신의 효는 부족하지만
자신도 효도를 행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느 사람이므로 어울리며
배울 수 있다는 의미로 말함.
주제 : 효의 실천 의지
특징: 고사 인용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해 화자의 소망을 드러냄
비유적 표현을 많이 활용
대립적 의미를 가진 시어를 사용함
'수능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특강 문학 말하는 돌 정리 및 해제 (0) | 2023.06.01 |
---|---|
수능특강 문학 오발탄 정리 및 해제 (0) | 2023.06.01 |
수능특강 문학 용비어천가 정리 및 해석 (2) | 2023.03.03 |
수능완성 - 흰 바람벽이 있어 백석 정리 및 해제 (0) | 2020.08.03 |
수능특강 문학 - 초토의 시 적군 묘지 앞에서 정리 및 해제 (0) | 2020.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