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현풍테크노폴리스 국어학원] 국어의 훈련 농무 정리 및 해제

728x90
반응형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

=> 막이 내리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허탈감을 유발

=> 농촌의 쇠락을 의미하기도 함

 

오동나무에 전등이 매어달린 가설 무대

구경꾼이 돌아가고 난 텅 빈 운동장

=> 공허함, 쓸쓸함 유발 

=> 소외되고 쇠락한 농촌의 현실을 보여줌

 

우리는 분이 얼룩진 얼굴로

=> 분장이 얼룩진 얼굴

=> 울분으로 얼룩진 얼굴

=> 중의적인 문장으로 해석할 수 있음.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신다.

=> 울분, 허탈감을 달래고자 하는 행위

 

꽹과리를 앞장 세워 장거리로 나서면

따라붙어 악을 쓰는 건 조무래기들

처녀애들은 기름집 담벽에 붙어 서서

철없이 킬킬대는구나.

=> 젊은 남자들은 농촌을 떠나버린 모습.

=> 산업화 과정에서 도시로 떠나고 일을 할 사람이 없음.

 

보름달이 밝아 어떤 녀석은

꺽정이처럼 울부짖고 또 어떤 녀석은 

서림이처럼 해해대지만 이까짓

=> 대조적 인물형

꺽정이: 민중 저항의 상징

서림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현실에 타협하는 인물

이까짓: 행간 걸침

 

산구석에 처박혀 발버둥친들 무엇하랴.

=> 농촌 현실에 대한 자조적 인식이 보인다.

 

비룟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

=> 당시 농촌의 현실, 농촌의 구조적 모순이 보인다.

 

아예 여편네에게나 맡겨 두고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

=> 신명나지 않는 상황이지만 반어적 표현을 통해 농민의 울분을 드러냄.

=> 잠시나마 신명나는 상황을 통해 현실에 대한 울분을 잠시 해소하는 상황으로 볼 수 있음.

 

한 다리를 들고 날라리를 불거나

고갯짓을 하고 어깨를 흔들거나

=> 농무를 통해 한을 표출함.

 

주제: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농민들의 현실과 그에 대한 비판

특징: 농민의 소외된 현실을 직설적으로 드러냄.

서사적인 시상 전개가 이루어짐.

역설적인 상황을 통해 농민들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시적 공간의 이동

텅 빈 운동장=> 농무 후의 허탈감

소줏집=> 술을 마시며 농촌의 현실에 대한 분노, 원통

장거리=> 농악을 울리며 분노, 자포자기

도수장=> 농무를 추며 울분과 한을 느낌

 

농무의 시적 기능

=> 농민들의 한과 울분을 풀어냄.

=> 단합과 즐거움의 기능이 상실된 농무의 모습을 통해 붕괴된 농촌의 현실을 보여 줌.

 

 

국어가 어렵고 힘든 학생과 학부모님들! 

 

언제든 현풍테크노폴리스 국어학원 국어의 훈련으로 전화주세요! 

 

<교육문의: 053-611-373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