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시가

누항사 - 박인로 정리 및 해제 누항사 - 박인로 정리 및 해제 박인로의 ‘누항사(陋巷詞)’해설(두산 동아 문학 교과서) ◈ 해설 들어가며 : 이 작품은 한음(漢陰) 이덕형이 누항 생활의 어려움을 묻자, 그에 답한 작품이라고 합니다. 작품의 제목인 ‘누항사(陋巷詞)’에서 ‘누항(陋巷)’은 ‘좁고 지저분하며 더러운 거리’또는 ‘자기가 사는 거리나 동네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로 작품 본문의 내용을 참고할 때 화자의 삶의 터전으로 가난한 처지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제목의 의미를 해석하자면 ‘누추한 거리에서 부르는 노래’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럼 화자의 가난한 처지를 드러내는 시어들을 찾고, 그런 현실에 대한 화자의 인식과 화자가 지향하는 삶의 태도를 중심으로 작품을 감상하도록 하겠습니다~ ◈ 본문 설..
서경별곡(西京別曲) - 작자미상 정리 및 해제 한글 파일로 보실려면 카페로 오셔서 받아가세요. https://cafe.naver.com/koreanlaboratory/73 서경별곡(西京別曲) - 작자미상 정리 및 해제 서경별곡(西京別曲)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악기소리(의성어),후렴구 아즐가:여음구, 감탄사 =>서경이 아즐가 서경이 서울이지마는 닷곤대 아즐가 닷곤대 쇼셩경 고요마른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새로 닦은 아즐가 새로 닦은 소성경을 사랑하오이다마는 여해므론 아즐가 여해므론 질삼뵈 바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이별하기보다는 아즐가 이별하기보다는 차라리 길쌈베 버려두고 길쌈베: 화자가 여자임을 알 수 있다. 괴시란대 아즐가 괴시란대 우러곰 좃니노이다. 위 두어렁셩..
공무도하가 정리 및 해석 공무도하가 - 백수 광부의 아내 ​ 임아 그 물을 건너지 마오. 公無渡河 임:남편, 물:중심소재=> 이별, 슬픔, 단절, 사랑 등이 담겨 있음. => 임을 만류함. ​ 임은 끝내 그 물을 건너셨네. 公竟渡河 => 임이 떠남.(이별) ​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墮河而死 => 임의 죽음 ​ 가신 임을 어이할꼬. 當奈公何 => 화자의 체념적 어투 =>임과의 이별에 대한 슬픔과 체념 ​ ​ 한자 풀이 •公(상대 높임 공) : 그대, 당신, 임 •無(없을 무) : ‘말다’의 뜻으로, 금지의 명령을 나타냄. •渡(건널 도) : 건너다 •河(물 하) : 물 •竟(마침내 경) : 끝내. 마침내 •墮(떨어질 타) : 흽쓸리다. 떨어지다 •而(말 이을 이) : 접속사로 ‘그리하여’의 의미 •當(마땅 당) : 마땅히 •奈(어..
박인로 - 독락당 정리 및 해제 독락당 - 박인로 [핵심정리] 연대 : 광해군 11년(1619) 작자 : 박인로 형식 : 3음보 혹은 4음보를 1행으로 하여 총 123행 최장편 가사 주제 : ① 독락당을 찾아가 이언적을 사모하는 심회와 주변 경치를 읊음. ② 이언적의 유지를 흠모하고 선현(先賢)의 풍모를 기리는 정 출전 : '노계집'권 3 특징: 공간의 이동에 따라 시상 전개, 예찬 한자 성어를 활용해 대상을 예찬 중국 고사를 활용해 대상을 예찬 다양한 표현기법 활용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노계 박인로(1561∼1642)가 만년에 회재 이언적(1491∼1553)이 살던 경주 옥산의 독락당을 찾아갔을 때인 광해 11년(1619)에 지은 모현가사이다. 내용은 늙은 몸으로 독락당에 찾아가서 회재 선생의 모습을 생각하며, 그곳의 뛰어나게 ..
관동별곡 - 정철 정리 및 해제 한글 파일을 받아서 보세요. 정철 - 가사 작품으로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김만중은 우리나라의 참된 문장은 오직 이 세 편 뿐이라고 극찬-左 海眞文章只此三篇). 성산별곡 등이 있고 시조로 훈민가 등을 남김. 1. 기행가사, 정격가사, 양반가사 2. 창작연대 - 선조 13, 작자 45세 때 3. 사상적 배경 - 유교적 충의사상 도교적 신선사상 4. 영향관계 관동별곡(안축) 관서별곡(백광홍) 면앙정가(송순) 5. 표현 (1) 감탄사의 첩용, 대구, 적절한 생략법의 구사 (2) 득의한 때의 작품인만큼 전체 분위기가 명쾌하고 화려하며, 호탕한 기상이 나타나 있다. 6. 구 성 텍스트 추가 셀 전체 선택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3열 선택3..
허난설헌 - 규원가 정리 및 해제 한글 파일을 보세요. 1. 일명 ‘원부사(怨夫詞)’라고도 하며 조선조 봉건 사회에서 독수공방하며 겪는 부녀자의 고독한 심정을 노래한 규방가사. (허난설헌은 15세 무렵 김성립과 결혼하였다) 2. 당시 여성들은 ‘삼종지도(三從之道)’, ‘여필종부(女必從夫)’ 라는 봉건 윤리 속에서 남성 들에게 예속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 작품에 담겨 있는 슬픔은 여성인 작자 자신이 그러 한 사회 속에서 겪어야 했던 외로움과 恨을 표출한 것이다. 3. 사미인곡이나 속미인곡은 작자의 마음을 여자에다 의탁해서 나타내면서 버림받고 헤어 지게 된 것이 모두 자기 탓이라고 했지만, 여기서는 그런 설정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일부러 지어낸 말이나 애써 꾸민 결과도 아니니, 한탄과 원망을 감출 필요가 없었다. 삶의 고 난을 있는 그대로 ..
농가월령가-정학유 1. 한 해 동안 힘써야 할 농사일과 철마다 알아 두어야 할 풍속 및 예의 범절 등을 월령체로 기록 한 작품. 다양한 농사 내용과 세시 풍속 등이 광범위하게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농업 기술을 음 률에 맞추어 흥겹게 노래로 부를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농업 기술의 보급상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민속학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조선 후기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실학 의 태도를 짐작할 수 있다. 2.그러나 농민이 그 스스로의 생활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는 점과 너무도 교훈적인 것이 많다는 점 이 아쉽다. 즉, 농촌 현실을 사실적으로 드러내기보다 지켜야 할 예의 범절이나 풍속을 중심으로 노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서술자는 지시와 교훈을 내리는 입장에 서 있는 인물이다. 절기 소개는 감탄형 종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