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시가

고려가요 정리

728x90
반응형

 

고려가요

 

 

1. 고려 시대에 평민들이 부르던 노래를 가리키는 것으로, 구전되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문자로 정착됨.

 

2. 궁중에서 불림

(1) 궁중의 악곡, 잔치 등에서 당악 정재와 대칭되는 속악 정재를 공연하면서 부름

(정재:대궐 안의 잔치 때 하던 춤과 노래)

(2) ‘악(樂)’의 개념 - 무릇 악은 풍속의 교화를 이룩하고 공덕을 나타낸다.

음악, 춤, 노래, 놀이의 복합체

 

(3) 속요가 하층 문화와 깊은 관련을 가지면서 민요의 모습을 많이 가지고 있던 것이, 궁중에서 불리면서 상층 문화로 변모되고 속악 정재의 공연 방식에 따라 개편됨.

따라서 이중적인 성격을 가지게 됨

(증거 - ① 동동, 정석가에서 임금에게 아뢰며 축복하는 사설 한 장을 더보탠 것으로 보임.

② 만전춘 별사의 경우, 궁중 노래 구성에 맞추기 위해 다른 사설을 모아 놓은 것으로 보임)

☞궁중에서 민간의 노래를 찾아 이용하는 의도

① 민간의 아름다운 풍속을 알 수 있게 하고 교화하려는 의도

( 󰃚상저가 : 어버이를 위해 힘써 일함 →나라의 질서 유지)

② 궁중에서 놀이를 하며 즐김

 

 

3. 형식상의 특징

① 대체로 분절체(분연체, 연장체) : 여러 개의 연으로 이루어짐.

② 후렴구 또는 조흥구가 발달되어 있음(󰃚청산별곡 : 얄리 얄리 얄라성 얄라리 얄라)

③ 대체로 3음보의 율격(3,3,2조의 표현 많이 나타남-살어리/살어리/랏다, 멀위랑/다래랑/먹고)

 

 

4. 내용상의 특징

현세적, 향락적이며, 주로 남녀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숨김없 는 인간성을 나타낸 것으로, 소박하고 풍부한 감정과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

☞남녀간의 애정을 솔직히 표현한 작품이 많으나, 조선조 유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 詞)라 하여 문헌에 싣지 않은 경우가 많음.

 

5. 수록 문헌

구전되다가 한글 창제 이후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 악보’ 등에 수록됨.

 

 

6. 고려가요 작품

 

작품명
작자
시대
출전
형식
내용
가시리
(歸乎曲)
미상
미상
악장가사
전4절.1절은 2행.
3·3·2기조. 후렴
연인과의 이별의 슬픔을 노래함
도이장가
(悼二裝歌)
예종
1120년
(예종 15)
장절공유사
(壯節公遺事)
8구체. 향가식 표기
예종이 서경(西京)에서 베푼 팔관회에 참석하여 지은 노래. 고려 개국공신 김낙·신숭겸을 추모
동동
(動動)
미상
미상
악학궤범
악장가사
서사(序詞) 포함.
전13절. 월령체
남녀간의 연정을 열 두 달의 자연에 비하여 노래함
만전춘
(滿殿春)
미상
미상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전5절. 시조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의 시가
남녀간의 사랑을 노골적으로 표현하여 노래함
사모곡
(思母曲)
미상
미상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6구체 단련.
고려 속요 중 가장 짧음
부모의 사랑을 노래하되 어머니의 사랑이 더 큼을 노래함
쌍화점
(雙花店)
미상
미상
악장가사
전4절. 반복적인
내용이 많음
남녀 관계의 음탕한 내용. 충렬왕 연회 때 사용함. 조선시대에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지탄됨
서경별곡
(西京別曲)
미상
미상
악장가사
전14절
서경의 경치를 배경으로 남녀의 이별을 노래함
이상곡
(履霜曲)
미상
미상
악장가사
10구체.
향가의 변형
남녀간의 정사를 노래함. 성종 때 가사 변경
정과정곡
(鄭瓜亭曲)
정서
(鄭敍)
18대 의종
악학궤범
10구체.
향가의 변형
산접동새에 비기어 임금을 그리워한 노래. 조선시대 궁정음악으로 불림
정석가
(鄭石歌)
미상
미상
악장가사
전6연11절.
3·3·4조
남녀간의 변함없는 사랑 또는 태평성대
처용가
(處容歌)
미상
미상
악작가사
희곡적 요소
신라 향가인 《처용가》에다 처용의 모습과 역신에 대한 노래를 붙여 지은 것. 처용무, 처용희 등으로 발전함.
청산별곡
(靑山別曲)
미상
미상
악장가사
전8절. 1절이 4구.
연속음조
인생무상을 노래함. 현실도피적 사상이 나타남
한림별곡
(翰林別曲)
제유
(제 ·諸儒)
23대
고종
악학궤범
악장가사
고려사 악지
최초의 경기체가.
8장. 3·3·4조
현실도피적·향락적·풍류적 내용
관동별곡
(關東別曲)
안축
(安軸)
27대
충숙왕
근재집
(謹齎集)
전8장
작자가 강원도 순찰사 재직시 관동의 경치를 노래함
죽계별곡
(竹溪別曲)
안축
(安軸)
27대
충숙왕
근재집
(謹齎集)
전5장.
이두로 된 경기체가
고향 풍기 땅 순흥(죽계)의 경치를 노래함
[

 

 

 

 

 

 

 

반응형

'고전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시가 필수어휘  (3) 2023.06.01
김천택 - 서검을 못 일우고 정리  (0) 2022.11.11
십년을 경영하여-송순 정리  (0) 2022.11.02
사시사 - 허난설헌 정리  (1) 2022.10.31
득오-모죽지랑가 정리  (1) 2022.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