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특강

수능특강 동동 - 작자미상 정리 및 해제

728x90
반응형

수능특강 동동 - 작자미상 정리 및 해제

 

 

 

덕으란 곰배에 받잡고 복으란 림배예 받잡고

=> 덕일랑 신령님께 바치옵고 복일랑 임에게 바칩니다.

 

덕이여 복이라 호늘 나오라 호소이다.

=> 덕이며 복이며 하는 것을 바치러 오십시오.

 

아으 동동다리

=> 후렴구, 북과 그 밖에 악기 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

 

서사: 임(임금)의 덕과 복을 기원함.

 

정월 나릿 므른 아으어져 녹져하논대

=> 정월의 냇물을 아아 얼고 녹고 하는데

 

누릿 가운대 나곤하 호올로 녈셔

=> 세상 가운데 나서는 이 몸은 홀로 살아가네.

=> 정월이 되자 얼었다 녹았다 하는 냇물과 임이 오지 않아

가슴이 꽁꽁 얼어붙은 화자가 대조를 이룸.

 

아으 동동다리

 

정월령: 홀로 지내는 고독(화자의 고독과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 한다. 냇물과 자신의 외로운 처지를 대비함.)

 

이월 보로매 아으노피 현 등블 다호라

=> 이월 보름에 아아 높이 켠 등불 같구나.

=> 연등회를 의미한다.

=> 고매한 인품을 지닌 임에 대한 비

 

만인 비취실즈이샷다.

=> 만 사람 비추실 모습이시네.

=> 예찬적 영탄적 어조

 

아으 동동다리

 

2월령: 임의 빼어난 인품을 예찬함.

 

삼월 나며 개한 아으 만춘달욋고지

=> 삼월 지나며 핀 아아 봄 산 가득 진달래꽃.

달욋고지: 임의 아름다운 모습을 비유한 말.

 

나매 브롤 즈을 디녀 나셨다.

=> 남들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녀 나셨네.

 

아으 동동다리


3월령: 임의 아름다운 모습 예찬

 

사월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 새여

=> 사월 아니 잊어 아아 오시는구나 꾀꼬리 새여.

꾀꼬리 새: 화자의 처지와 상반되는 객곽적 상관물

 

므슴다 녹사니믄 녯나를 닛고 신뎌

=> 어이타 녹사님은 옛날을 잊고 계신지요.

곳고리 새 <=> 녹사님: 꾀꼬리는 다시 왔지만 임은 화자를 찾아오지 않음(대조)

 

아으 동동다리

 

4월령: 오지 않는 임을 그리워하며 원망함.

 

오월오일에 아으 수릿날 아참 약은

=> 오월 오 일에 아아 단옷날 아침 약은

=> 5월 5일은 단오임.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청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하는 날임.

 

즈믄해 장존하샬 약이라 받잡노이다.

=> 천년을 길이 사실 약이라 바치옵니다.

단옷날 먹는 익모초: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

 

아으 동동다리

 

5월령: 임의 장수를 기원함

 

유월보로매 아으별해 바룐 빗다호라

=> 유월 보름에 아아 벼랑에 버린 빗과 같구나.

유두일: 신라 때 유래한 것으로, 나쁜 일을 떨어 버리기

위하여 동쪽으로 머리를 감는 풍속이 있었음.

별해 바룐 빗: 임에게 버려진 화자의 처지 비유

 

도라 보실 니믈 젹곰 좃니노이다.

=> 돌아보실 임을 잠깐 쫓아갑니다.

 

아으 동동다리

 

6월령: 버림받은 처지에도 임을 따름

 

칠월 보로매 아으 백종 배하야 두고

=>칠월 보름에 아아 백종 제물 차려 놓고

칠월 보름: 백중날 => 이 무렵에 과실과 채소가 많이 나와 옛날에는 백 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 하여 유래한 명칭)

백종 배하야 두고 : 온갖 과일과 음식을 차려 놓고 임과 함께 하고픈 소망과 기원이 담겨 있음.

 

니믈 한대 녀가지 원을 비옵노이다.

=> 임과 함께 가고 싶네. 원을 비옵니다.

=> 임과 함께 살고 싶은 화자의 궁극적인 소망

 

아으 동동다리

 

7월령: 임과 함께 하고픈 소망

 

팔월 보로므 아으 가배나리마른

=> 팔월 보름은 아아 가윗날이지만

가배: 한가위

 

니믈 뫼셔 녀곤 오늘낤 가배샸다.

=> 임을 모시고 다니거든 오늘이 가위로구나.

=> 임이 함께해야만 진정한 한가위임.

 

아으 동동다리

 

8월령: 임을 그리워함.

 

구월 구일에 아으 약이라 먹논

=>구월 구 일에 아아 약이라고 먹는

중양절: 세시 명절의 하나로 음력 9월 9일을 이르는 말. 이날 남자

들은 시를 짓고 각 가정에서는 국화전을 만들어 먹고 놀았음.

 

황화고지 안해 드니, 새셔 가만 하애라.

=> 누런 국화꽃 안에 드니 갈수록 아득하구나.

=> 국화꽃이 집안에 가득 피니, 임이 안 계신 집이 더욱 초라하게 느껴짐.

=> 중양절엔 국화전을 부쳐 나들이를 가는 풍습이 있다.

 

아으 동동다리

 

9월령: 임이 없는 쓸쓸함.

시월에 아으 져미연 바롯다호라.

=> 시월에 아아 저며 놓은 고로쇠 같구나

져미연 바롯: 임에게 버려진 화자의 처지 비유

 

것거 바리신 후에 디니실 한 부니 업스샷다.

=> 꺾어 버리신 후에 지니실 한 분이 없네.

=> 임에게 버림받은 신세를 한탄함.

이유: 열매를 따먹은 후엔 가지를 버리기 때문에.

 

아으 동동다리

 

10월령: 임에게 버림받아 슬퍼함.

 

십일월 봉당자리예 아으 한삼 두퍼 누워

=> 십일월 봉당 자리에 아아 한삼 덮어 누워

=> 추운 겨울밤 마루에 혼자 누워 적삼을 덮고 임이 없이 혼자 살아가는 신세를 보여줌.

임이 부재하는 고통을 봉당 자리와 한삼을 통해 강조.

 

슬흘 사라온뎌 고우늴 스싀옴 녈셔

=> 슬픔을 사르고 있네. 고운 임 떨어져 살아가네.

 

아으 동동다리

 

11월령: 임과 떨어져 있어 외로워함.

 

십이월 분디남기로 갓곤, 아으 나올 반앳 져다호라.

=> 십이월 분디나무로 깎은 아아 소반의 저와 같네.

반앳 져: 임과의 사랑을 이루지 못한 화자를 비유한 말.

 

늬미 알패 드러 얼이오니 소니 가재다 므라 옵노이다.

=> 임의 앞에 가지런히 놓으니 손이 가져다 무옵니다.

=> 임의 앞에 가지런히 놓아서 임과 사이좋게 지내려고 하였으나

생각지도 못한 다른 사람이랑 사이좋게 지냄(임과 이루어질 수 없을을 간접적으로 드러낸 말)

 

아으 동동다리

 

12월령: 임과 인연을 맺지 못한 한

 

갈래: 고려가요

주제: 임에 대한 송축과 연모

특징: 임과 화자의 모습을 다양한 사물에 빗대어 표현

1연과 나머지 연이 정서가 이질적이며, 각 연의 시상이 일관되지 않음.

후렴구를 사용하여 연을 구분하고 음악적 흥취를 고조시킴.

 

시상 전개의 이질성

1연: 임금에 대한 찬양과 송축의 내용

2~13연: 임과의 이별 후 , 슬픔에 잠긴 여인의 심정에 대한 내용

 

이유: 민간에서 불리다 궁중 음악으로 유입될 때, 임금을 송축하는 내용과 여음 및 후렴구가 첨가된 것으로 보임.

단일 작자에 의해 일관되게 창작된 것이 아님을 추측할 수 있음.

 

임과 화자를 비유한 시어

 

2월: 노피 현 등ㅅ블 => 고매한 인품의 소유자임.

3월: 달욋고지 => 아름다운 모습을 지님.

 

화자

6월: 별해 바룐 빗

10월: 져미연 바롯

=> 임에게 버림받은 가련한 신세임.

 

12월: 반앳 져 => 임과의 사랑을 이루지 못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