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특강

수능특강 문학 사미인곡 - 정철 정리 및 해제

728x90
반응형

수능특강 문학 사미인곡 - 정철 정리 및 해제

 

 

이 몸 삼기실 제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 임과 운명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운명론적 세계관이 보임.

 

한생 연분이며 하늘 모를 일이런가

=> 설의법이 보인다.

=> 하늘도 알고 있는 운명적인 일.

 

나 하나 졈어 잇고 님 하나 날 괴시니

 

이 마음 이 사랑 견줄데 노여 업다

 

평생애 원하요데 한대 녜쟈 하얏더니

=> 화자의 소원, 평생 함께 사는 것.

 

늙거 무슨 일로 외오 두고 그리는

=> 화자는 현재 이별한 상황이 보인다.

 

엇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의 올낫더니

=> 도교 사상 반영, 임금이 계시는 궁궐을 미화한 표현

 

그 더듸 엇디하야 하계예 나려오니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년일쇠

=> 머리를 빗을 이유가 없음(임과 헤어졌기 때문에)

=> 헤어진지 3년이 흐름.

 

연지분 잇내마는 눌 위하야 고이 할고

=> 여성적 화자

 

마음에 매친 실음 텹텹이 싸혀이셔

 

짓나니 한숨이오 디나니 눈믈이라

 

인생은 유한한데 시름도 그지업다

 

무심한 셰월은 믈 흐르듯 하는고야

 

염냥이 때를 아라 가는 듯 고텨 오니

=> 세월이 덧없이 흘러가는 거에 대한 아쉬움이 느껴짐.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춘사

 

동풍이 건듯 부러 젹셜을 혜텨 내니

=> 계절은 봄

 

창밧긔 심근 매화두세 가지 픠여셰라

=> 지조, 절개를 상징한다.

 

가득 냉담한대암향은 무슨 일고

=> 매화의 속성을 뜻하는 말로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을 뜻함.

 

황혼의 달이 조차 벼마틔 빗최니

=> 임의 모습(임금)

 

늦기는 듯 반기는 듯 님이신가 아니신가

=> 임도 자신을 그리워 한다고 생각함.

 

매화것거 내여 김겨신 듸 보내오져

=> 화자의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의 상징물

 

님이 너를 보고 엇더타 너기 실고

 

춘사=> 임에 대한 충정

 

꽃 디고 새닙 나니 녹음이 깔렷는데

계절의 변화 -> 봄에서 여름으로 변함.

 

나위 적막하고 수막이 뷔여 있다.

=> 임의 부재로 인한 고독감, 적막감

=> 외로움을 드러내는 객관적 상관물

 

부용을 거더 노코 공작을 둘러 두니

 

가득 시름한데날은 엇디 기돗던고.

=> 임에 대한 그리움으로 인한 근심, 걱정

 

원앙금 버혀 노코 오색선 플텨내여

 

금자헤 견화이셔 님의지어내니

=> 화자의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의 상징물

 

수품은 카니와 제도도 가줄시고

=>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 자신의 솜씨를 은근히 자랑함.

 

산호수 지게 우헤 백옥함의 다마 두고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데 바라보니

 

산인가 구름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 화자와 임의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

=> 간신의 의미도 있다.

 

천리만리 길흘 뉘라셔 차자갈고

=> 화자와 임사이의 정서적 거리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 설의적 표현

 

하사=> 임에 대한 그리움과 정성

 

하루밤 서리김의 기러기우러 녈 제

=> 계절의 변화 여름에서 가을

=> 화자의 외로움이 심화.

기러기: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

 

위루에 혼자 올나 수저렴을 거든마리

=> 임을 보기 위해 화자가 올라가는 곳

 

동산의이 나고 북극의이 뵈니

=> 임금을 상징함

 

님이신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청광을 쥐여 내여 봉황루의 븟티고져.

=> 밝은 빛, 달빛을 의미한다.

=> 달빛을 피어내 임금에게 보내고 싶다는 의미를 내포.

=> 화자의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의 상징물

 

누 우헤 거러 두고 팔황의 다 비최여

 

심산궁곡 졈낫가티 맹그소셔.

=> 임금이 선정을 베풀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

 

추사=> 임에 대한 연모와 선정을 당부

 

건곤이 폐색하야

=> 계절의 변화 가을 - 겨울

 

백설이 한 비친 제

 

사람이 카니와 새도 긋처 잇다.

 

소상남반도 치오미 이러커든

=> 화자의 유배지를 의미

 

옥루고처야 더옥 닐러 므슴하리.

=> 임금이 계신 곳

 

양춘을 부처 내여 님 겨신 데 쏘이고져.

=> 화자의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의 상징물

 

모첨 비쵠 해를옥루의 올리고져

=> 화자의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의 상징물

 

홍상을 니믜 차고 취수를 반만 거더

=> 여성적 화자임을 알 수 있다.

 

일모수죽의 혬가림도 하도 할샤.

=> 임을 기다리는 모습

 

다른 해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청등 거른 겻테 전공후 노하 두고

 

꿈의나 님을 보려 턱밧고 비겨시니

=> 임을 그리워하는 화자의 마음이 구체적 행동으로 드러남.

 

앙금도 차도 찰샤 이 밤은언제 샐고.

=> 임이 없는 시간의 고독과 외로움

 

동사=> 임에 대한 염려와 고독

 

하루도 열두 때 한 달도 셜흔 날

=> 기다림의 시름을 표현하기 위해 숫자를 사용.

 

져근덧 생각마라 이 시름 닛쟈 하니

 

마음의 매쳐 이셔 골수의 께텨시니

 

편작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하리.

=> 명의가 온다고 해도 임을 그리워하는 이 병은 고치지 못함.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찰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 죽어서 나비로 되어서라도 임을 만나겠다는 표현.

=> 윤회사상

 

곳나모 가지마다 간 데 죡죡 안니다가

 

므든 날애로 님의 오세 올므리라.

=> 임에 대한 사랑과 충성심.

 

님이야 날인 줄 모르셔도 내 님 조차려 하노라.

=> 낙구과 시조의 종장과 유사함.

=> 오직 임만을 따르겠다는 일편단심의 표현.

 

해제:이 작품은 작가가 50세 되던 해에 조정에서 물러나 전남 창평에서 은거하며 지은 가사로, 임금에 대한 그리움과 충정을 노래한 충신연주지사이다. 왕에 대한 자신의 충정을 하소연할 목적으로 지은 노래이지만, 왕과 자신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자신을 임의 사랑을 받지 못하는 여자로, 임금을 임으로 설정한 후, 사계절의 풍경과 함께 이별한 임을 그리워하는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따. 여성적 어조로 임에 대한 절실한 마음을 애절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다양한 표현 방법과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절묘한 언어 구사로 국문학사에서 가사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주제: 임금을 향한 일편단심, 연군지정

특징: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상이 전개됨.

뛰어난 우리말의 구사와 세련된 표현을 사용함.

화자의 정서를 자연물에 의탁하여 표현함.

여성 화자를 통해 연군의 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함.

 

 

▶핵심 포인트

■화자 : 임과 이별한 여인이 사시사철 임을 그리워하고 있다.

■정서∙태도 : 󰏚󰏚󰏚󰏚(戀君之情)이 드러나 있다. 화자 자신을 여인으로 설정하고, 임금(선조) 으로 설정하여, 임금에 대한 연모의 정을 나타내고 있다. 사계절에 따른 그리움과 외로움, 안타까움이 드러나 있다.

■여성 화자 설정 효과 : 임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함에 있어서, 작가는 자신의 뜻을 절실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독자는 체험적인 정서로 받아들이고 공감할 수 있다.

4계절에 따른 시상 전개 : ,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 변화에 따라 사무치는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외로운 신하가 임금을 그리워하는 심정은 계절의 변화와 관계없이 한결같음을 나타낸 것이다.

 

 

계절 배경

임에 대한 정성의 상징물

인물 상징어

분위기/기타

내용

동풍, 매화

매화

달(임금)

냉담

매화를 꺾어 보내드림.

여름

녹음

산, 구름(방해물, 간신)

적막

옷을 만들어 보내드림.

가을

서리, 

기러기

청광(달빛)

달, 북극성(임금)

선정 갈망

위루↔봉황루

임을 생각하며 선정을 갈망함.

겨울

적셜

󰏚󰏚(봄볕. 대상의 주관적 변용)

 

쇼상남반↔옥루고처

외로움 고조

  •  

 

■정서 표현 방법

-자신의 심정을 계절의 변화에 대응시켜 하소연하고 있다.

-미화법을 사용하여 임에 대한 알뜰한 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성적 경어체의 사용으로 간절한 사랑을 표출하고 있다.

■율격 : 3(4).4조의 4음보가 연속된 운문체, 가사체이다.

■의의 : 「속미인곡」과 더불어 가사 문학의 극치를 이루는 충신연주지사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