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

용비어천가 제2장 중세 국어 문법 정리

728x90
반응형

용비어천가 제2장 중세 국어 문법 정리

 

 

용비어천가 정리 및 용비어천가에 보이는 중세 국어 문법 정리

용비어천가 제2장 용이 날아서 하늘을 본받아 처신하다

 

 

*갈래 : 악장, 영웅서사시, 송축가

*주제 : 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후대 왕에 대한 권계. 개국송(開國頌), 근심장(根心章)

 

*특징 : 용비어천가 125장 중 가장 문학성이 뛰어남(순수 국어 사용, 고도의 상징적 수법 사용)

중국의 고사가 쓰이지 않음

한글로 기록된 최초의 장편 서사시로,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작 임.

*표현 : 상징법, 대구법

*짜임 : ①뿌리 깊은 나무-②바람에 흔들리지 않음-③꽃 좋고 열매가 많음 <상징>

<대구> ∥ ∥ ∥

①샘이 깊은 물 - ②가뭄에 그치지 않음 - ③내를 이루어 바다에 감<상징>

⇒①은 ②의 원인. ,②는 또 다른 원인이 되어 ③의 결과를 낳음.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특징과 의의

※악장(樂章)

① 종묘제향(宗廟祭享)이나 궁중연락(宮中宴樂)에 사용하던 음악의 가사

② 귀족 계층의 문학[→국민 문학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단명]으로 조선의 창업(創業)이나 왕덕(王德)을 송축

·창작 동기

① 내적 동기 :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합리화(민심수습), 후대 왕에 대한 권계(왕권확립)

② 외적 동기 :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검토하고, 훈민정음에 국자(國字)의 권위 부여

 

·의의

① 문학적 측면 :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이자, 최초의 악장 문학

② 어학적 측면 : 15세기 국어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

 

·체재(125) : 24구체의 대구 형식(1, 125장은 파격장)

<전절 : 중국 역대 왕의 사적 찬양, 후절 : 조선 육조의 사적 찬양>

서사

(序詞)

개국송(開國頌)

[12]

조선 건국의

정당성(正當性)

·1: 해동장(海東章)

·2: 근심장(根深章)

본사

(本詞)

사적찬(事蹟讚)

[3109]

육조의

사적(事蹟)

찬양

·316: 천명성(天命性)

·1726: 사조(四祖)의 사적

·2789: 태조의 인물됨과 영웅적인 행동 찬양

·90109: 태종의 사적

결사

(結詞)

계왕훈(戒王訓)

[110125]

후왕에 대한

경계

·110124: 물망장(勿忘章)

·125: 후대왕 경계(警戒)

원본이 필요하신 분은 댓글로 이메일 남겨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