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

용언의 불규칙활용 정리

728x90
반응형

< 용언의 불규칙활용 >

 

어간 불규칙활용

 

불규칙활용

으로 끝나는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어간의 이 탈락하는 경우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 씻다, += 씻고

+= 짓다, += 짓고

+= 씻어

+= 지어

 

문법 학자들의 설명

씻다의 어간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해도 어간 -’이 바뀌지 않는데 짓다의 어간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면 어간 -’이 탈락하는데 이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이 탈락하니 불규칙활용이라고 이름을 붙이니 너희는 그냥 외워라.

 

불규칙활용이 나왔을 때 너희들의 대처 방안

어간이 으로 끝났는지 확인한다.

어미가 자음으로 시작하는지 모음으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어간의 이 탈락할 경우 불규칙활용으로 판단한다.

 

불규칙활용 대처 방안 적용 예시

 

< 보 기 >

 

 

 

 

A는 쌀을 씻고, B는 밥을 짓는다.

A는 쌀을 씻어. 그리고 B는 밥을 지어.

 

 

~ 을 보니 어간이 모두 으로 끝이 났네.

은 어미가 자음으로 시작하고, 은 어미가 모음으로 시작하네.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와도 어간이 안 바뀌는데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니 어간 -’이 탈락했네. 그러니까 은 규칙활용이고, 불규칙활용이구나.

 

불규칙활용

으로 끝나는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어간의 로 교체되는 경우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 얻다, += 얻고

+= 묻다, += 짓고

+= 얻어

+= 물어

 

문법 학자들의 설명

얻다의 어간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해도 어간 -’이 바뀌지 않는데 묻다의 어간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면 어간 -’로 교체되는데 이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이 교체되니 불규칙활용이라고 이름을 붙이니 너희는 그냥 외워라.

 

불규칙활용이 나왔을 때 너희들의 대처 방안

어간이 으로 끝났는지 확인한다.

어미가 자음으로 시작하는지 모음으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어간의 로 교체된 경우 불규칙활용으로 판단한다.

 

불규칙활용 대처 방안 적용 예시

 

< 보 기 >

 

 

 

 

A는 문제에 대해 묻고 답을 얻는다.

A는 궁금한 것 물어, B는 잘 듣고 답을 얻어.

 

 

~ 을 보니 어간이 모두 으로 끝이 났네.

은 어미가 자음으로 시작하고, 은 어미가 모음으로 시작하네.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니 어간 -’로 교체되었는데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와도 어간이 바뀌지 않네. 그러니까 불규칙활용이고 은 규칙활용이구나.

 

불규칙활용

으로 끝나는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어간 의 로 바뀌는 경우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 잡다, += 잡고

+= 돕다, += 돕고

+= 줍다, += 줍고

+= 잡아

+= 도와 (++)

+= 주워 (++)

 

문법 학자들의 설명

잡다의 어간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해도 어간 -’이 바뀌지 않는다. 반면 돕다의 어간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면 어간 -’로 교체되고, ‘줍다의 어간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면 어간 -’로 교체되는데 이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이 교체되니 불규칙활용이라고 이름을 붙이니 너희는 그냥 외워라.

 

불규칙활용이 나왔을 때 너희들의 대처 방안

어간이 으로 끝났는지 확인한다.

어미가 자음으로 시작하는지 모음으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어간의 로 교체된 경우 불규칙활용으로 판단한다.

어간의 이 바뀐 는 뒤에 오는 어미와 결합하기 때문에 어미를 반드시 나누어서 숨겨진 를 찾을 것.

 

불규칙활용 대처 방안 적용 예시

 

< 보 기 >

 

 

 

 

A는 공격수 잡고, BA돕는다.

A는 공격수 잡아. 그리고 BA도와.

 

 

~ 을 보니 어간이 모두 으로 끝났네.

은 어미가 자음으로 시작하고, 은 어미가 모음으로 시작하네.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와도 어간 -’이 그대로 있는데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니 어간 -’로 바뀌었네. 그럼 은 규칙활용이고 불규칙활용이구나.

 

불규칙활용

로 끝나는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어간의 ㄹㄹ로 바뀌는 경우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치르+= 치르다, 치르+= 치르고

따르+= 따르다, 따르+= 따르고

이르+= 이르다, 이르+= 이르고

치르+= 치러 (탈락)

따르+= 따라 (탈락)

이르+= 일러(+ㄹㄹ+)

 

문법 학자들의 설명

치르다의 어간 치르-’따르다의 어간 따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어간의 가 탈락하는데 이르다의 어간 이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어간의 ㄹㄹ로 바뀌는데 이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어간의 ㄹㄹ로 교체되니 불규칙활용이라고 이름을 붙이니 너희는 그냥 외워라.

 

불규칙활용이 나왔을 때 너희들의 대처 방안

어간이 로 끝났는지 확인한다.

어미가 자음으로 시작하는지 모음으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어간의 ㄹㄹ로 바뀌어 있으면 불규칙활용으로 판단한다.

어간의 가 바뀐 ㄹㄹ은 하나는 어간 종성으로 결합하고 하나는 어미 초성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어간과 어미를 모두 보고 찾을 것

 

불규칙활용 대처 방안 적용 예시

 

< 보 기 >

 

 

 

 

A는 시험을 치르고, B는 아직 시험 치기에 이르다.

A는 시험을 치러, B는 아직 시험 치기는 일러

 

 

~ 을 보니 어간이 모두 로 끝나네.

은 어미가 자음으로 시작하고 은 어미가 모음으로 시작하네.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여 어간 치르-’가 탈락한 반면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니 어간 이르-’ㄹㄹ로 교체되네. 그러니까 탈락이고 불규칙활용이구나.

 

불규칙활용 관련 유의사항

- ‘탈락 : ‘로 끝나는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 합할 경우 어간의 가 탈락하는 현상

- ‘탈락과 반드시 구분할 것

- ‘탈락은 규칙활용이라는 것을 반드시 명심할 것

 

불규칙활용

로 끝나는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어 간의 가 탈락하는 현상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 주다, += 주고

+= 푸다, += 푸고

+= 주어

+=

 

문법 학자들의 설명

주다의 어간 -’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와도 변하지 않는데 푸다의 어간 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어간 -’가 탈락하는데 이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어간의 가 탈락하니 불규칙활용이라고 이름을 붙이니 너희는 그냥 외워라.

 

불규칙활용이 나왔을 때 너희들의 대처 방안

어간이 로 끝났는지 확인한다.

어미가 자음으로 시작하는지 모음으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어간의 가 탈락하면 불규칙활용으로 판단한다.

 

불규칙활용 대처 방안 적용 예시

 

< 보 기 >

 

 

 

 

A는 주걱을 주고, B는 밥을 푸고.

A는 주걱을 , B는 밥을

 

 

~ 을 보니 어간이 모두 로 끝나네.

은 어미가 자음으로 시작하고 은 어미가 모음으로 시작하네.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해도 어간 -’가 변하지 않는 반면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니 어간 가 탈락하네. 그러니까 은 규칙활용이고 불규칙활용이구나.

 

불규칙활용 관련 유의사항

어간과 어미의 축약이 일어나는 것과 구분할 것

+= 주어 = (‘’+‘가 축약한 것)

 

 

2. 어미 불규칙활용

활용할 때 어미는 원래 바뀌는데 왜 어미가 바뀐다고 불규칙활 용이라고 해요?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음. 활용할 때 어미가 바 뀐다는 것은 +, +/ +, +에서 알 수 있듯 결 합하는 어미의 종류가 바뀌는 것이지 어미의 형태가 바뀌지는 않음. 어미 불규칙활용은 어미의 형태가 바뀌기 때문에 불규칙 활용이라고 함.

 

불규칙활용

어간 -’뒤에서 어미 ‘-/로 바뀌는 현상

어간 -’ 뒤의 어미 ‘-/

-’ 이외의 어간 뒤의 어미 ‘-/

+= 하여

+어라 = 하여라

+= 집어

+어라 = 집어라

 

문법 학자들의 설명

다른 어간과 달리 어간 -’뒤에 오는 어미 ‘-/‘-로 형태가 바뀌는데 이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어미 ‘-/‘-로 교체되니 불규칙활용이라고 이름을 붙이니 너희는 그냥 외워라.

 

불규칙활용이 나왔을 때 너희들의 대처 방안

어간이 -’인지 확인한다.

-’뒤의 어미 ‘-를 확인한다.

불규칙활용으로 판단한다.

 

불규칙활용 대처 방안 적용 예시

 

< 보 기 >

 

 

 

 

A는 오늘부터 조금만 먹어라.

A는 오늘부터 공부하여라.

 

 

은 모두 명령형인데 어미의 형태가 다르네.

과 달리 의 어간은 -’고 어미 ‘-‘-로 교체되었네.

그러니까 불규칙활용이구나.

 

불규칙활용

로 끝나는 일부 어간의 뒤에서 어미 로 교체되는 현상

불규칙활용 적용

불규칙활용 적용 X

이르+= 이르다

이르+= 이르러

(어미 로 교체)

치르+= 치르다

치르+= 치러

(치르+어에서 으가 탈락)

 

문법 학자들의 설명

치르다의 어간 치르-’뒤에 어미 ‘-가 올 경우 탈락이 일어나고 어미는 변화가 없는 반면 이르다의 어간 이르-’ 뒤에 어미 ‘-가 올 경우 어미 ‘-‘-로 교체되는데 이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어미 ‘-‘-로 교체되므로 이름을 불규칙활용이라고 붙이니 너희는 그냥 외워라.

 

불규칙활용이 나왔을 때 너희들의 대처 방안

어간이 -’로 끝이 났는지 확인한다.

탈락이 일어났는지, 어간 -’ㄹㄹ로 바뀌었는지, 어미 ‘-‘-로 바뀌었는지 확인한다.

탈락이 일어났으면 규칙활용, 어간 -’ㄹㄹ로 바뀌었으면 불규칙활용, 어미 ‘-‘-로 바뀌었으면 불규칙활용으로 판단한다.

 

불규칙활용 대처 방안 적용 예시

 

< 보 기 >

 

 

 

 

시험을 치르다. / 시험을 치러.(치르+)

물이 흐르다. / 물이 흘러.(흐르+)

목적지에 이르다. / 목적지에 이르러.(이르+)

 

 

을 비교해보니 어간 치르-’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니 어간의 가 탈락하니 이건 탈락이구나.

을 비교해보니 어간 흐르-’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니 어간의 -’ㄹㄹ로 교체되니 이건 불규칙활용이구나.

을 비교해보니 어간 이르-’ 뒤에서 어미 ‘-‘-로 교체되니 이건 불규칙활용이구나.

 

불규칙활용 관련 유의사항

탈락, ‘불규칙활용과 헷갈리기 때문에 함께 출제될 가능성이 높음. 3가지 현상을 구분할 수 있게 충분히 학습할 것.

 

너라불규칙활용

어간 -’ 뒤에서 명령형 어미 ‘-거라‘-너라로 교체되는 현상

너라불규칙활용

너라불규칙활용X

+거라 = 오너라

+거라 = 가거라

+거라 = 하거라

 

문법 학자들의 설명

어간 -’ 뒤에서만 명령형 어미 ‘-거라‘-너라로 바뀌는데 이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어미 ‘-거라‘-너라로 교체되니 이름을 너라불규칙활용이라고 붙이니 너희는 그냥 외워라.

 

너라불규칙활용이 나왔을 때 너희들의 대처 방안

너라불규칙은 오너라밖에 없다. 나오면 땡큐다.

 

3. 어간, 어미 불규칙활용

 

불규칙활용

으로 끝나는 일부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경 우 어간의 이 탈락하고 어미의 형태도 바뀌는 현상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

+= 좋다, += 좋고

파랗+= 파랗다, 파랗+= 파랗고

+= 좋아

파랗+= 파래

 

문법 학자들의 설명

좋다의 어간 -’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해도 어간과 어미에 아무런 변화가 없는 반면 파랗다의 어간 파랗-’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경우 어간의 이 탈락할 뿐만 아니라 어미 ‘-로 교체되는데 이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 이 현상의 이름을 불규칙활용이라고 붙이니 너희는 그냥 외워라.

 

불규칙활용이 나왔을 때 너희들의 대처 방안

어간의 이 탈락했는지 확인한다.

어미의 형태가 바뀌었는지 확인한다.

위의 1, 2번이 모두 확인되면 불규칙활용으로 판단한다.

 

불규칙활용 대처 방안 적용 예시

 

< 보 기 >

 

 

 

 

하늘이 노랗다. / 하늘이 노래.(노랗+)

아기를 낳다. / 아기를 낳아.

 

 

어간의 이 탈락한 건 이네. 왜 탈락했는지 보니까 어간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가 와서 탈락했구나.

을 보니 어미 ‘-로 바뀌었구나.

그러니까 에서는 불규칙활용이 확인되는구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