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

근대 국어 문법 독립신문 창간사 원문 + 내용정리

728x90
반응형

근대 국어 문법 독립신문 창간사 원문 + 내용정리

 

 

귀여운 사진으로 스타트

 

 

내용정리

1.

글쓴이: 서재필

연대: 1896 (근대국어 완성시기)

갈래: 논설문-신문 사설

성격: 계몽적, 설명적

특징:

한글 전용(국문 전용, 순한글)

띄어쓰기 사용-읽기 쉬움

근대적이고 계몽적인 의식 (남녀평등, 신분초월)

주제: 독립신문 창간의 취지-한글 전용 및 띄어쓰기를 주장하는 이유

 

2. 한글과 한문 비교.

한글

한문

학습의 용이성-전 조선인의 사용과 혜택

학습의 어려움-특정계층만 사용

 

3. 기존문자 사용의 문제점과 독립신문의 표기 방식의 의의

기존 문자사용의 문제점

표기 방식과 의의

한문 위주-모든 사람이 사용하기 어려움

국문 전용– 넓은 독자층 확보

붙여쓰기-글자 알아보기 어려움

띄어쓰기- 글 알아보기 쉬움

 

 

독립신문 창간사에 나타난 근대 국어의 특징

-‘ㆍ’음가는 소실, 표기는 여전히.

-구개음화 아직도 안 나타나는 곳 있음 ‘됴흔’

-‘ㅅ’계 합용병서가 여전히 쓰이고 있음

-모음조화 X

-신문물어 등장(개화기 국어)

-명사형 종결어미가 많이 사용 ‘–흠이라’

-이어쓰기 부분적 사용 ‘일그니’

-끊어적기(분철) 확대

-띄어쓰기가 잘못 이루어진 부분이 많다. ‘우리신문’

-한문 번역투 문장 구조 ‘아니쓰고’

-예스러운 표현(의고적 표현)이 사용됨 ‘고로’ ‘-ㄴ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