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특강

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

728x90
반응형

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

 

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입니다.

 

정리본 원본이 필요하신 분은 카페로 와서 받아가세요.

 

https://cafe.naver.com/koreanlaboratory/953

 

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만 전 춘 별사(滿殿春 別詞)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얼음 위에 댓잎 자리 만들어

님과 내가 얼어 죽을 망정

얼음 위에 댓잎 자리 만들어

님과 내가 얼어 죽을 망정

정 나눈 오늘 밤 더디 새시라 더디 새시라

 

耿耿(경경) 孤枕上(고침상)

어느 미 오리오

西窓(서창)을 여러

桃花(도화) ()두다

桃花 시름업서 笑春風(소춘풍) 笑春風

뒤척 뒤척 외로운 침상에

어찌 잠이 오리오

서창을 열어보니

복사꽃 피었도다

복사꽃은 시름 없이 봄바람을 비웃네, 봄바람을 비웃네.

 

넉시라도 님을 

녀닛() 너기다니

넉시라도 님을 

녀닛 너기다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는 모습 그리더니(지낼까 여겼더니)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는 모습 그리더니

우기시던 이 누구입니까 누구입니까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흘란 어듸 두고

소해 자라온다

소콧 얼면 여흘도 됴니 여흘도 됴

오리야 오리야

어린 비오리야

여울일랑 어디 두고

()에 자러 오느냐

못이 얼면 여울도 좋거니 여울도 좋거니

 

南山(남산)애 자리 보와

玉山(옥산)을 벼여 누어

錦繡山(금수산) 니블 안해

麝香(사향) 각시를 아나 누어

()든 가을 맛초사이다 맛초사이다

남산에 자리 보아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안에

사향 각시를 안고 누워

약 든 가슴을 맞추옵시다 맞추옵시다

 

아소 님하 遠代平生애 여힐  

! 님이여 평생토록 여읠 줄 모르고 지냅시다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해석 1. 함께 하자고 우기던 사람이 누구였습니까? - 넋이라도 임과 함께 지내고 싶음을 강조하면서, 함 께 있지 못한 현실을 두고 임을 원망함.

2. ‘녀닛  남의 경황으로 보면 - 임과 함께 지내는 것이 남의 경황으로만 여겨 포기하고 있었 는데, 함께 하자고 우기던 사람이 누구였습니까? : 역시 원망의 뜻.)

오리 : (탕아)  : 시적 자아 여울 : 다른 여자

*비오리 - 원앙과 비슷하나 좀 더 크며, 자줏빛이 많은 날개는 오색이 찬란하고 암수가 늘 함께 논다.

(사향 : 사향 노루의 향주머니. 여기서 나오는 향기로 암컷이 쫓아오게 된다.)

사향각시 - 아름다운 여인   - 상사병을 낫게 해 주는 약

♤♤♤♤♤♤♤♤♤♤♤♤♤♤♤♤♤♤♤♤♤♤♤♤♤♤♤♤♤♤♤♤♤♤♤♤♤♤♤♤♤♤♤♤♤♤♤♤♤♤♤♤♤♤♤♤♤

 

1. 남녀간의 애정을 대담하고 솔직하게 읊은 고려 속요. 대표적인 남녀 상열지사.

 

2. 형식상의 특징-  5연으로 되어 있는 이 작품은 반복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각 연이 3행 형식 으로 되어 있어(3연은 예외) 시조의 3장 형식과 대응된다.

특히 2연은 반복되는 구절이 없고,  3행이 시조의 종장과 닮아 있어 시조 형식의 기원이 될 수 있는 연이라 하겠다.

 

3. 시상 전개의 특징 - 각 연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가 독립된 시 상을 가지고 여러 양상의 사랑을 각기 보여주고 있다.

서술자 : 1-4연은 여성, 5연은 남성(?)

각 연 순서를 바꾸어도 큰 지장이 없음.

 

4. 만전춘의 합가(合歌)적 성격

(1)정과정과 유사한 표현 -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2)경기체가 류의 표현 - 녀닛  너기다니

(3)한시 현토 형식 - 2

 

5. 구성

1 : 임과 함께 있고 싶은 간절한 마음

(차가운 얼음 위에서도 임과 함께 누워 있다면, 오래 있고 싶다는 애정의 강도를 나타냄)

2 : 홀로 지내는 외로움 하소연

(임이 오지 않으니, 잠도 오지 않고 자연은 자신의 심정을 모른다고 하소연함)

3 : 임과의 이별에 대한 원망

(넋이라도 임과 함께 가자고 하였던 그 임을 원망함)

4 : 임과 함께 있고 싶은 간절함

(남자가 본처를 버리고 딴 곳에 마음을 둠을 꼬집음)

5 : 임과 함께 사랑을 나누고 싶은 간절한 마음(육욕적 사랑 갈망)

6 : 이별 없는 영원한 사랑 소망

(임과의 사랑이 이루어졌을 때, 그 사랑은 이별없는 영원한 것이 되기를 소망함.)

 

6. 주제 :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확 인

1. 서정적 자아의 외로움을 더욱 심화시켜 주고 있는 소재를 찾아 쓰라.

 

2. ‘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에 담긴 서정적 자아의 정서와 가장 유사한 것은?

 내 언제 無信(무신)여 님을 언제 소겻관대 / 月沈三更(월침삼경)에 온 이 전혀 업 / 秋 風(추풍)에 지 닙소리야 낸들 어이 리오

 冬至(동지)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 春風(춘풍)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 어론 님 오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묏버들 갈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 자시 ()밧긔 심거두고 보소서 / 밤비예 새 닙 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소서

 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로 / 이시라 더면 가랴마 제 구 / 보내고 그리  ()은 나도 몰라 노라

   버혀내여 뎌  글고저 / 구만 리 댱텬의 번시 걸려 이셔 / 고온 님 겨션 고 가 비최여나 보리라.

3. 이 노래가 시조의 형식과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라.

 

 

4. 2연에서 알 수 있는 시적 자아의 상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말은?

 와신상담(臥薪嘗膽)  풍수지탄(風樹之嘆)  전전반측(輾轉反側)

 남가일몽(南柯一夢)  사시춘풍(四時春風)

*사시춘풍(四時春風) - 두루 봄날의 화창한 기운에 둘러싸여 있다는 뜻으로 누구에게나 호감 을 산다 모든 일이 태평하다는 뜻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