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
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입니다.
정리본 원본이 필요하신 분은 카페로 와서 받아가세요.
https://cafe.naver.com/koreanlaboratory/953
수능완성 - 만전춘별사 정리 및 해제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만 전 춘 별사(滿殿春 別詞)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情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
얼음 위에 댓잎 자리 만들어 님과 내가 얼어 죽을 망정 얼음 위에 댓잎 자리 만들어 님과 내가 얼어 죽을 망정 정 나눈 오늘 밤 더디 새시라 더디 새시라 |
|
|
耿耿(경경) 孤枕上(고침상)애 어느 미 오리오 西窓(서창)을 여러니 桃花(도화)ㅣ 發(발)두다 桃花 시름업서 笑春風(소춘풍)다 笑春風다 |
뒤척 뒤척 외로운 침상에 어찌 잠이 오리오 서창을 열어보니 복사꽃 피었도다 복사꽃은 시름 없이 봄바람을 비웃네, 봄바람을 비웃네. |
|
|
넉시라도 님을 녀닛景(경) 너기다니 넉시라도 님을 녀닛景 너기다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는 모습 그리더니(지낼까 여겼더니)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는 모습 그리더니 우기시던 이 누구입니까 누구입니까 |
|
|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흘란 어듸 두고 소해 자라온다 소콧 얼면 여흘도 됴니 여흘도 됴니 |
오리야 오리야 어린 비오리야 여울일랑 어디 두고 못(沼)에 자러 오느냐 못이 얼면 여울도 좋거니 여울도 좋거니 |
|
|
南山(남산)애 자리 보와 玉山(옥산)을 벼여 누어 錦繡山(금수산) 니블 안해 麝香(사향) 각시를 아나 누어 藥(약)든 가을 맛초사이다 맛초사이다 |
남산에 자리 보아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안에 사향 각시를 안고 누워 약 든 가슴을 맞추옵시다 맞추옵시다 |
|
|
아소 님하 遠代平生애 여힐 모새 |
아! 님이여 평생토록 여읠 줄 모르고 지냅시다 |
|
|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해석 1. 함께 하자고 우기던 사람이 누구였습니까? - 넋이라도 임과 함께 지내고 싶음을 강조하면서, 함 께 있지 못한 현실을 두고 임을 원망함. 2. ‘녀닛 景’을 ‘남의 경황’으로 보면 - 임과 함께 지내는 것이 남의 경황으로만 여겨 포기하고 있었 는데, 함께 하자고 우기던 사람이 누구였습니까? : 역시 원망의 뜻.) •오리 : 임(탕아) •소 : 시적 자아 •여울 : 다른 여자 *비오리 - 원앙과 비슷하나 좀 더 크며, 자줏빛이 많은 날개는 오색이 찬란하고 암수가 늘 함께 논다. (사향 : 사향 노루의 향주머니. 여기서 나오는 향기로 암컷이 쫓아오게 된다.) •사향각시 - 아름다운 여인 • 약 - 상사병을 낫게 해 주는 약 |
♤♤♤♤♤♤♤♤♤♤♤♤♤♤♤♤♤♤♤♤♤♤♤♤♤♤♤♤♤♤♤♤♤♤♤♤♤♤♤♤♤♤♤♤♤♤♤♤♤♤♤♤♤♤♤♤♤
1. 남녀간의 애정을 대담하고 솔직하게 읊은 고려 속요. 대표적인 남녀 상열지사.
2. 형식상의 특징- 전 5연으로 되어 있는 이 작품은 반복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각 연이 3행 형식 으로 되어 있어(3연은 예외) 시조의 3장 형식과 대응된다.
특히 2연은 반복되는 구절이 없고, 제 3행이 시조의 종장과 닮아 있어 시조 형식의 기원이 될 수 있는 연이라 하겠다.
3. 시상 전개의 특징 - 각 연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가 독립된 시 상을 가지고 여러 양상의 사랑을 각기 보여주고 있다.
☞서술자 : 1-4연은 여성, 5연은 남성(?)
각 연 순서를 바꾸어도 큰 지장이 없음.
4. 만전춘의 합가(合歌)적 성격
(1)정과정과 유사한 표현 -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2)경기체가 류의 표현 - 녀닛 景 너기다니
(3)한시 현토 형식 - 2장
5. 구성
1연 : 임과 함께 있고 싶은 간절한 마음
(☞차가운 얼음 위에서도 임과 함께 누워 있다면, 오래 있고 싶다는 애정의 강도를 나타냄)
2연 : 홀로 지내는 외로움 하소연
(☞임이 오지 않으니, 잠도 오지 않고 자연은 자신의 심정을 모른다고 하소연함)
3연 : 임과의 이별에 대한 원망
(☞넋이라도 임과 함께 가자고 하였던 그 임을 원망함)
4연 : 임과 함께 있고 싶은 간절함
(☞남자가 본처를 버리고 딴 곳에 마음을 둠을 꼬집음)
5연 : 임과 함께 사랑을 나누고 싶은 간절한 마음(☞육욕적 사랑 갈망)
6연 : 이별 없는 영원한 사랑 소망
(☞임과의 사랑이 이루어졌을 때, 그 사랑은 이별없는 영원한 것이 되기를 소망함.)
6. 주제 :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 확 인 |
1. 서정적 자아의 외로움을 더욱 심화시켜 주고 있는 소재를 찾아 쓰라.
2. ‘情둔 오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에 담긴 서정적 자아의 정서와 가장 유사한 것은?
① 내 언제 無信(무신)여 님을 언제 소겻관대 / 月沈三更(월침삼경)에 온 이 전혀 업 / 秋 風(추풍)에 지 닙소리야 낸들 어이 리오
② 冬至(동지)ㅅ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 春風(춘풍)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 어론 님 오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③ 묏버들 갈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 자시 窓(창)밧긔 심거두고 보소서 / 밤비예 새 닙 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소서
④ 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로냐 / 이시라 더면 가랴마 제 구야 / 보내고 그리 情 (정)은 나도 몰라 노라
⑤ 내 버혀내여 뎌 을 글고저 / 구만 리 댱텬의 번시 걸려 이셔 / 고온 님 겨션 고 가 비최여나 보리라.
3. 이 노래가 시조의 형식과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라.
4. 2연에서 알 수 있는 시적 자아의 상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말은?
① 와신상담(臥薪嘗膽) ② 풍수지탄(風樹之嘆) ③ 전전반측(輾轉反側)
④ 남가일몽(南柯一夢) ⑤ 사시춘풍(四時春風)
*사시춘풍(四時春風) - 두루 봄날의 화창한 기운에 둘러싸여 있다는 뜻으로 ①누구에게나 호감 을 산다 ②모든 일이 태평하다는 뜻
'수능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완성 - 흰 바람벽이 있어 백석 정리 및 해제 (0) | 2020.08.03 |
---|---|
수능특강 문학 - 초토의 시 적군 묘지 앞에서 정리 및 해제 (0) | 2020.08.02 |
수능특강 문학 공방전 정리 및 해제 (0) | 2020.06.04 |
수능특강 문학 오랑캐꽃 - 이용악 정리 및 해제 (0) | 2020.05.18 |
수능특강 문학 오장환 성탄제 정리 및 해제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