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소설

구운몽에서 보이는 김만중의 사상과 창작동기 그리고 정리

728x90
반응형

구운몽에서 보이는 김만중의 사상과 창작동기 그리고 정리

 

구운몽 – 김만중

 

네이버 지식백과

 

-줄거리 : 내용은 당(唐)나라 때 천축(天竺)으로부터 육관 대사(六觀大師)라는 고승(高僧)이 중국에 와서 큰 절을 세우고 제자를 모아 불도(佛道)를 강론(講論)한다. 그 중에서 가장 뛰어난 제자가 성진(性眞)이었다. 어느날 성진은 대사의 심부름으로 용궁에 가게 되었는데, 용왕의 융숭한 대접에 술을 몇 잔 마시고 돌아온다. 한편 선녀 위진군(魏眞君)은 팔선녀(八仙女)를 대사에게 보내 약간의 보물을 선사한다. 길 중간에서 팔선녀와 성진이 만나게 되어 서로 희롱하다 돌아온다.절에 돌아온 성진은 선녀들을 그리워하며 속세의 부귀영화만 생각한다. 끝내 그는 죄를 얻어 지옥에 떨어지고 다시 인간 세상에 환생하여 양소유(楊少遊)가 된다. 한편 팔선녀도 같은 죄로 지옥에 떨어졌다가 각각 다시 세상에 환생한다. 양소유는 차례로 그들 여덟 여인과 인연을 맺게 된다. 드디어 벼슬은 승상에 이르고 두 부인과 여섯 낭자를 거느린 양소유의 화려한 인생이 펼쳐지는 것이다.

회남 수주현 양처사의 아들로 태어난 성진[양소유(楊少遊)]은 15세에 과거를 보러 가던 중 어사의 딸 '진채봉'을 만나 혼약하고, 난을 피해 있다가 과거를 보러 올라가던 중 낙양의 기생 '계섬월'과 인연을 맺고, 경사에 이르러 거문고를 타는 여자로 가장하여 정사도의 딸 '정경패'를 만난다. 과거에 급제한 양소유는 정경패의 시비인 '가춘옥'과도 인연을 맺는다.

하북의 왕이 역모하려 아니 양소유는 절도사로 나가 이를 다스리고 돌아오는 길에 계섬월인 줄 알고 만난 여자가 하북의 명기 '적경홍'이었다. 상경하여 예부상서가 된 양소유는 황제의 누이인 '난양 공주'의 퉁소 소리에 화답한 인연으로 부마로 간택이 되는데. 양소유는 정경패와의 혼약을 이유로 이를 물리치다가 옥에 갇힌다.

토번왕이 쳐들어오자 대원수가 되어 출전한 양소유는 토번왕이 보낸 여자 자객 '심요연'과 인연을 맺고, 백룡담에서는 용왕의 딸인 '백릉파'를 도와주어 인연을 맺는다. 그 동안에 난양 공주는 양소유와의 혼약을 이루지 못하여 실심한 정경패를 만나보고 그 인물에 감복하여 제 1 공주인 '영양 공주'를 삼는다.

토번왕을 물리치고 돌아온 양소유는 위국공의 벼슬에 오르고, 영양 공주 난양 공주 2처와 진채봉, 계섬월, 가춘옥, 적경홍, 심요연, 백릉파의 6첩을 거느리게 된다. 작품의 제목에 나오는 '아홉'이라는 숫자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을 상징한다.

그러나 세월은 유수(流水)와 같아 이제는 승상의 벼슬에서도 물러나 한가히 그의 여생을 즐기던 양소유는 어느 가을날 두 부인과 여섯 낭자를 거느리고 뒷동산에 올라갔다가 문득 인생의 허무함을 느낀다. 이때 한 노승을 만난다. 때마침 찾아온 어느 고승에게 불도(佛道)에 귀의할 것을 말하자 그 도승은 쾌히 승낙하고 짚고 온 지팡이로 난간을 두드린다. 그러자 모든 것이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손에 백팔 염주를 들고 있고 까칠까칠한 중의 머리를 한 자기(성진) 뿐이었다.

당황한 그가 곰곰이 생각해 보니 부귀영화는 하룻밤 꿈이었고 자기는 분명히 연화 도량(蓮花道場)의 성진이었다. 꿈을 깬 성진은 황망히 대사 앞에 뛰어가 엎드린다. 팔선녀도 이어 들어와 제자 되기를 청한다.

후에 대사는 도(道)를 성진에게 물리고 천축으로 돌아가고 팔선녀는 성진이 앞에서 계속 도를 닦아 후에 아홉 사람은 모두 극락세계로 갔다고 한다.

 

김만중 선천에 유배되었을 때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 한글로 된 소설 <구운몽>을 지었다고 한다. 한글로 쓴 문막만이 진정한 국문학이라는 생각으로 한글 소설들을 지어 남겼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창작 동기

개인적 동기 : 노모(老母)를 위로하기 위해 창작.(김만중의 어머니는 청춘과부로서 가난한 살림살이를 이끌어 나가면서도 오직 두자 식에 마음을 붙여 정성껏 길러 여생을 즐기려 했는데, 그 장자 만기를 잃어버리고 또 만중조차 유배지로 자주 귀향가게 되어 허무한 삶을 한탄하며 살았다. 김만중은 그 같은 어머니의 마음을 위로하고 즐겁게 하는 글을 쓰고 싶었을 것이고, 이 작품 역시 작가 자신의 생명의 원천인 그의 어머니를 향하여 내면화된 결과라 하겠다. 즉 이 작품은 어머니를 위해서 쓰면서 어머님께 지금 현실의 고통은 한 순간이라는 점을 간접적으로 알려 주고 싶었고, 한편으로 삶의 유한성과 허망함을 극복하는 영생의 길을 갈망하여 자은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문학적 동기 : 한국인은 한국어(韓國語)로 작품을 써야 한다는 '민족자주문학론'을 내세운 그는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창작에 임함

 

-사상

유.불.선 사상이 혼합되었으나 불교사상이 주가 되고, 김만중이 바라던 이상의 세계를 묘사

1) 불교적인 부분: 핵심적 주제를 이루는 사상으로 유복자로 태어나서 한 번도 부친의 얼굴조차 못한 것을 전생의 죄악이라고 보는 데는 인과응보사상이 깃들어 있다. 그리고 결말 부분에서의 구절 "보살 대도를 얻어 모두 극락세계로 갔더라" 라는 것에서 불교적 냄새가 물씬 풍긴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 유교적인 부분: 입신양명, 부귀공명 (당시 양반 사회의 이상적 인생관)은 자기를 길러 준 어머니의 은혜와 스스로 효도를 다하지 못했다고 후회하는 있는 데는 유교적인 효사상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일부다처제의 모순을 안고 있으며, 조선조 귀족 사회의 이상을 반영하고 있다.

3) 도교적인 부분: 작품의 비현실적 내용을 이루는 신선 사상은 부귀 영화 끝의 허무감을 그린 것은 도교적 발상에서 비롯되었다.

 

-구성 : 이원적 환몽 구조를 지닌 일대기 형식. 곧 액자소설(환몽세계 부분) 현실세계→환몽세계→현실복귀

'구운몽'은 삼국유사에 실려있는 조신 설화와 그 구조를 같이 하고 있다. 성진이 형이상학적 세계에 대해서 회의를 품고 형이하학적 세계로 내려가 온갖 욕망을 성취하였으나, 그에 대해서도 회의를 품고 형이상학적 세계로 복귀하는 꿈의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현실과 꿈의 세계를 이중(二重)으로 그리고 있는 이 구조는 결국 인생의 무상함, 삶의 덧없음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작품 구조상 꿈의 세계인 양소유의 일생은 오히려 현실적이고, 현실 세계로 되어 있는 선계(仙界)는 오히려 신비로운 꿈의 세계이다.

 

 

성진과 팔 선녀의 만남(구운몽도) 백옥교에서 성진이 팔 선녀와 만나는 장면이다. 이 만남이 계기가 되어 성진은 속세와 연을 맺게 된다.

맺게 된다.

현실 세계(선계)

성진과 8선녀 천상 세계 수도자로서의 의지(불교적). 8선녀에 미혹되어 불도 수련 에 회의함

파계(天上)

환몽 세계(인간계)

창 양소유와 8부인 지상 세계 영웅으로서의 생애(유교적), 세속적 욕망의 성취 단계. 입신 양명, 일부다처의 향락적 생활

환생(地上)

현실 세계로 복귀(형이상학적 세계)

미혹과 환몽을 거쳐 대각(大覺)의 경지로 이룸

각성(天上)

 

① 1단계 : 육관 대사가 제자 5, 6백 명을 거느리고 서역천축국으로부터 형산(衡山)의 연화봉(蓮華 峰)에 수도할 즈음에 남악(南岳) 위부인(魏夫人)이 상제의 명에 따라 선동 옥녀를 거느리고 머문다. 그 때 수부에 갔다가 산으로 돌아오던 육관 대사의 수제자와 위부인의 명을 받고 육관 대사에게 문안드리고 돌아가던 팔 선녀가 만나게 된다. 그 후 여덟 개의 명주로서 인연을 맺고 산문으로 돌아온 성진이 팔선녀와 인간 세계를 동경한 때문에 육관 대사의 노여움을 사 중국 회남도(淮南道) 수주현(秀洲縣)의 양씨집에 환생하기까지 과정.

② 2단계 : 속세에 환생한 성진, 즉 양 소윤는 과거에 응시하려고 가는 길목에서 규수 진채봉을 만나 혼인하려 했으나 구사량의 수해로 진소저가 죽었다는 말을 듣고 노모에게 이를 얘기했더니 도인 두연사에게 혼처를 부탁한다. 소유는 그곳에 찾아가서 제일부인 정경패와 그의 몸종 가춘운을 맞는다. 그러니까 팔선녀 중 네 선녀가 인간으로서 양소유를 만나기까지의 행동 단계.

③ 3단계 :양소유가 사신, 원수로 활약하면서 팔선녀를 모두 만나게 되기까지의 행동 단계.

④ 4단계 : 양소유가 승상이 되어 팔선녀 중 여섯 명은 첩이 되고 두 공주는 부인이 되어 모두 궁중에 모여 단란한 세월을 보내는 시기.

⑤ 5단계 : 인간 양소유가 속세에서 불도로 소생하여 팔선녀와 더불어 다시 극락세계로 귀의함으로써 대단원의 막이 내리는 데까지. 대부분의 우리나라 고대소설이 한결같이 그렇듯이 "구운몽"도 중국을 무대로 했다. 하지만 "구운몽"의 세계는 당나라처럼 광활한 무대가 아니며 그 많은 등장인물들의 활동을 자유자재로 표현한 수가 없었을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은 그 무대가 선계와 인간 세계 등 두 세계에 걸쳐 있어서 더욱 흥미롭다. 흡사 단테의 "신곡"처럼 이차원의 세계를 일차원의 세계로 구성시키고 있는 구성의 묘를 거두고 있는 점은 참으로 흥미롭다. 언뜻 보면 이율배반적인 것 같으면서도 수긍되는 점이 많고, 산만한 듯 하면서도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은 그의 작가적 역량을 과시하는 점이라 하겠다.

-인물

'구운몽'의 '구(九)'는 성진과 팔선녀를 가리키는 것. 인간세상의 인물들은 이 아홉 사람의 후신(後身)들이다.

① 양소우(楊少游) : 성진의 후신. 양처사와 유 씨 부인의 아들. 성진은 전생의 이름임. 성진은 양소유의 전신으로 성진은 육관 대사의 제자로서 결국 크게 깨달아 불도를 이루었다. 대승 불교의 관점에서 본다면 그는 하나의 부처가 된 것이다. 그는 처음부터 크게 깨달을 수 있는 이상적 조건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었다. 꿈에 들어 새 삶으로 태어난 이래 그는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이상적 조건을 완벽하게 갖추게 되었다. 그러기에 그는 당연히 세간에서 최상의 부귀공명을 누리면서 오직 사랑의 복종, 신망과 존경만을 받았다. 그에게는 악의에 찬 저항과 실질적인 가해(加害)가 없으므로 그는 늘 즐겁고 행복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 그는 국가와 백성, 가족과 그 아래의 모든 중생들에게 그의 전부를 자비로 베풀었으므로 다 함께 즐겁고 행복하게 되었다. 따라서 그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인물이 아니라 이상적이고 전형적인 존재다.

② 정경패(鄭瓊貝) : 정사도의 딸. 양소유의 제1부인. (左夫人, 正夫人)

③ 이소화(李簫和) : 황제의 여동생. 난양 공주. 양소유의 제2부인.(右夫人)

④ 진채봉(秦彩鳳) : 진어사의 딸. 양소유의 1첩.(淑人) ⑤ 가춘운(賈春雲) : 정경패의 몸종. 양소유의 2첩

⑥ 계섬월(桂蟾月) : 낙양의 명기. 양소유의 3첩 ⑦ 적경홍(狄驚鴻) : 낙양의 명기. 양소유의 4첩

⑧ 심요연(沈 煙) : 토번의 자객. 양소유의 5첩 ⑨ 백능파(白凌波) : 동정 용왕의 막내딸. 양소유의 6첩

이 작품 가운데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등장인물들은 55명이나 된다. 이처럼 많은 등장인물의 배치가 잘 되어 있고 등장인물 하나하나가 제대로 부각되어 인물의 특성을 잘 표현. 물론 인물 묘사에 있어서 보다 고차원적인 표현 기교인 간접적 수법을 쓰지 못하고 인물의 외형 위주로 특별한 직접적인 방법을 썼다는 점과 '문장은 이 백같고…….', '칼 쓰는 법이 귀신같아서…….', 등 매너리즘에 젖은 표현이 없지는 않으나 여타의 고대 소설에 견준다면 표현 기교 역시 뛰어나다.

*사진의 출처는 네이버 백과사전입니다.

반응형

'고전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새결송 정리 및 해제  (0) 2021.12.14
_&$@_  (0) 2020.01.28
금오신화 줄거리, 요약, 정리  (0) 2019.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