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가 정리 및 해석
공무도하가 - 백수 광부의 아내
임아 그 물을 건너지 마오. 公無渡河
임:남편, 물:중심소재=> 이별, 슬픔, 단절, 사랑 등이 담겨 있음.
=> 임을 만류함.
임은 끝내 그 물을 건너셨네. 公竟渡河
=> 임이 떠남.(이별)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墮河而死
=> 임의 죽음
가신 임을 어이할꼬. 當奈公何
=> 화자의 체념적 어투
=>임과의 이별에 대한 슬픔과 체념
한자 풀이
•公(상대 높임 공) : 그대, 당신, 임
•無(없을 무) : ‘말다’의 뜻으로, 금지의 명령을 나타냄.
•渡(건널 도) : 건너다 •河(물 하) : 물
•竟(마침내 경) : 끝내. 마침내
•墮(떨어질 타) : 흽쓸리다. 떨어지다
•而(말 이을 이) : 접속사로 ‘그리하여’의 의미
•當(마땅 당) : 마땅히
•奈(어찌 내) : 어찌
시적 화자와 시적 대상
시적 화자 |
사랑하는 임이 물에 빠지는 모습을 보게 된 아내 |
시적 대상 |
스스로 물에 빠지는 남편, 백수 광부 |
=> 백수 광부와 그의 아내의 상황을 지켜본 곽리자고가 집에 돌아와 아내인 여옥에게 이 이야기를 들려줌
이 작품에서 ‘물’의 의미
예술에서의 ‘물’은 이승과 저 승을 가르는 경계, 삶과 죽음, 정화 혹은 정화를 통한 재생, 생 명과 삶의 원천, 충만한 사랑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원형 상징 으로 활용된다. 이 작품에서 임은 물에 빠져 죽게 되면서 화자와 이별하게 된다. 따라서 ‘물’은 ‘삶과 죽음 의 경계’, ‘화자와 임의 단절’, ‘이 별’, ‘슬픔’ 등의 의미를 지닌다. 또한 1행의 ‘물’은 그것을 건너 지 않기를 바라는 화자의 ‘바람’, ‘사랑’ 등이 담겨 있다고 보기도 한다
시적 화자의 정서 변화
1, 2행 |
3, 4행 |
임이 물을 건너려고 하자 만류하지만 결국 임은 물을 건넘. |
임이 물에 빠져 죽고 시적 화자는 그 모습을 보게 됨 |
근심, 걱정, 불안함, 초조 |
체념, 안타까움, 절망감, 한탄 |
갈래 : 고대가요, 서정 가요
성격 : 서정적, 애상적, 체념적
제재 : 물
주제 : 임의 죽음으로 인한 이별의 슬픔과 恨
특징 : 시적 화자의 절박한 심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함.
'물'의 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시상을 전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