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백석 - 수라 정리 및 해제

수능국어연구소 2022. 11. 1. 16:02
728x90
반응형

백석 - 수라 정리 및 해제

 

 

 

해제 : 이 시는 거미 가족의 모습을 통해 붕괴된 가족 공동체의 아픔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거미 한 마리가 방바닥에 내려오자 화자는 무심히 쓸어버린다. 이어 어미 거미와 갓 알에서 깨어난 새끼가 차례로 나타나자 화자는 ‘가슴이 짜릿’해지고, ‘가슴이 메이’면서 거미 가족을 위하는 마음으로 그들을 밖으로 쓸어 내며 슬퍼한다. 화자는 가족의 해체와 이산이라는 비극적인 상황이 벌어졌던 1930년대 우리 민족의 상황을 ‘거미 일가’를 통해 보고 있기에 큰 슬픔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시인이 보기에 당시 우리 사회는 참담한 비극의 현장, ‘아수라(阿修羅)’와 같은 세계였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 시는 거미 가족의 모습을 통해 해체된 가족 공동체의 아픔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면서 당시의 상황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서사적, 상징적

정서 : ① 거미 새끼를 아무 생각 없이 밖으로 버린 것에 대한 미안함

② 거미 가족들이 헤어진 것에 대한 안타까움, 서러움, 슬픔

③ 거미 가족들이 다시 만나기를 바라는 마음

 

태도 : 동정, 연민, 애상

 

특징 : ① 거미를 문밖으로 버리는 화자의 반복된 행위를 통해 시상이 전개되어 나감

② 거미를 대하는 화자의 감정이 점층적으로 고조됨

③ 시적 대상을 의인화하여 표현함

④ ‘무심함 - 서러움 - 슬픔’으로 변화되는 화자 내면의 섬세한 감정 묘사가 돋보임

⑤ 시상의 흐름에 따라 시상이 전개된다.

⑥ 대상에 대한 묘사가 점점 구체화 된다.

⑦ 현재형 어미를 통해 시상을 생동감 있게 전개한다.

⑧ 화자의 정서가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다.

⑨ 대상에 대한 묘사와 화자의 정서가 반복 교차하고 있다.

⑩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가 드러난다.

 

주제 : ① 붕괴된 공동체 회복에 대한 소망

② 해체된 가족 공동체의 아픔과 회복에 대한 열망

③ 거미 가족의 비극을 통해 떠올린 가족에 대한 그리움

 

 

거미새끼 하나 방바닥에 나린 것을 나는 아무 생각 없이 문밖으로 쓸어버린다.

 (방바닥) 가족 공동체가 해체된 현실

 (거미새끼) 존재론적 연민을 갖게 하는 생명체

차디찬 밤이다

 (쓸어버림과 밤의 상황) 행위의 무정함과 사건의 비극성을 암시함

※ 거미새끼 한 마리를 문 밖으로 쓸어버림: 무심함

⇒ 거미 새끼를 문 밖에 버림(무심함)

 

언제인가 새끼거미 쓸려나간 곳에 큰거미가 왔다

나는 가슴이 짜릿한다.

→ 화자의 심리 변화

나는 또 큰거미를 쓸어 문밖으로 버리며

찬 밖이라도 새끼 있는 데로 가라고 하며 서러워한다.

→ 연민, 자비, 동정

※ 큰 거미를 새끼거미 있는 데로 버림 : 서러워함

⇒ 큰 거미를 새끼 있는데 버림(연민, 자비)

 

이렇게 해서 아린 가슴이 싹기도 전이다

어데서 좁쌀알만한 알에서 가제 깨인 듯한

발이 채 서지도 못한 무척 작은 새끼거미가

이번엔 큰거미 없어진 곳으로 와서 아물거린다

나는 가슴이 메이는 듯하다

내 손에 오르기라도 하라고 나는 손을 내어미나 분명히 울고불고 할

이 작은 것은 나를 무서우이 달아나버리며 나를 서럽게 한다

나는 이 작은 것을 고히 보드러운 종이에 받어 또 문밖으로

 (문밖) 가족 공동체가 실현되는 공간

버리며 이것의 엄마와 누나나 형이 가까이

이것의 걱정을 하며 있다가

쉬이 만나기나 했으면 좋으련만 하고 슬퍼한다

※ 아주 작은 새끼거미를 종이에 받아 문 밖으로 버림 : 슬퍼함

⇒ 아주 작은 거미 새끼를 문 밖에 버림

 

 

★ 작품의 우화적 구조/ 점층적으로 반복되는 구조

▪ 정서의 발전은 시상이 전개될수록 점층적으로 더 심화 ⇒ 대상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이 좁혀짐

시간(한밤중)+공간(방 안)+행위(거미를 문 밖으로 버린다)

㉠ 새끼 거미- 아무 생각없이 쓸어버린다.

㉡ 어미 거미- 가슴이 짜릿하며 서러워한다.

㉢ 알에서 갓 깨인 거미- 가슴이 메이는 듯하다. 걱정하고 슬퍼한다.

⇒ 거미가족의 이야기(거미가족의 해체는 가족 공동체가 무너진 화자의 처지와 유사)

⇒ 붕괴된 가족 공동체의 아픔과 회복에 대한 열망(1930년대 일제에 의해 가족 공동체가 붕괴된 우리 민족들의 모습으로 화자는 거미에게서 자신의 모습과 우리 민족의 모습을 투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