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문-한거십팔곡 정리 및 해제
권호문-한거십팔곡 정리 및 해제
평생에 원하나니 다만 충효(忠孝)뿐이로다
화자가 목표하는 바를 정확히 설명(유교적 성격)
=>평생에 원하는 것이 있다면 다만 충효뿐이로다.
이 두 일 말면 금수(禽獸)나 다를쏘냐
=>이 두 일 없다면 짐승과 다르겠느냐?
마음에 하고자 하여 십재 황황(十載遑遑) 하노라
노력했지만 마음대로 되지 않았다.
=>마음에 하고자 하여 십 년을 허둥대노라 <1수>
계교 이렇더니 공명이 늦었어라
입신양명에 미련이 있다.
=>남과 글재주를 견주다 보니 공명이 늦었구나.
부급 동남(負芨東南)해도 이루지 못할까 하는 뜻을
=>책을 지고 스승을 찾아다녀도 이루지 못할까 걱정하는 법이건만
세월이 물 흐르듯 하니 못 이룰까 하여라
(이리저리 재는 동안 시간을 낭비하여)
=>세월이 흐르는 동안 이루지 못할까봐 걱정이구나 <2수>
비록 못 일워두 임천(林泉)이 좋으니라
자연을 의미하는 대유법
=>비록 공명을 못 이루어도 자연이 좋으니라
무심(無心)어조(魚鳥)는 절로 한가하나니
=>욕심없는 물고기와 새는 절로 한가하나니
조만간 세사잊고 너를 쫓으려 하노라
=>조만간 세속의 일을 잊고 욕심없는 너희를 좇으려 하노라 <3수>
강호에 놀자하니 임금을 저버리겠고
대유법
임금을 섬기자 하니 즐거움에 어긋나네
대구법이 보인다. 자연과 세속에서 갈등이 보인다.
혼자서 기로에 서서 갈 데 몰라 하노라 <4수>
어쩌랴 이러구러 이 몸이 어찌할꼬
=>어쩌랴! 이몸 어찌할까
행도(行道)도 어렵고 은둔처도 정하지 않았네
=>도를 행하는 것도 어렵고 은둔처도 정하지 않았네
언제나 이 뜻 결정하여 내 즐기는 바 쫓을 것인가?
=>언제 이 뜻 결정하여 내 (자연) 즐기는 바 쫓을 것인가? <5수>
=>화자의 정서는 안타까움이다.
하려하려 하되 이 뜻 못 하여라
자연을 즐기고자 하는 마음
이 뜻 하면 지락(至樂)이 잇나니라
지극한 즐거움
우읍다 엊그제 아니턴 일을 뉘 올타 하던고
=> 우습다 엊그제 아니하던 일을 누가 옳다 하겠느냐? <6수>
말리말리 하되 이 일 말기 어렵다
벼슬길
이 일말면 일신(一身)이 한가하다.
=> 벼슬길에 대한 욕망을 버리면 내 몸이 한가하다.
어지게 엊그제 하던 일이 다 왼줄 알과라
=>어찌하랴 엊그제 하던 일이 다 그른 줄 알겠네. <7수>
=>벼슬길에 대한 미련이 보인다.
출하면 치군택민 처하면 조월 경운
=>벼슬에 나아가면 임금에게 몸을 바쳐 충성하고 백성에게 혜택은 베풀고
자연에 은거하면 달빛아래 고기낚고 구름속에 밭을 간다.
명철 군자는 이를사 즐기나니
=>현명하고 밝은 군자는 이것(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을 즐기나니
하믈며 부귀 위기라 빈천거를 하오리라
=>하물며 부귀는 위태하고 가난하고 천하게 사는 삶을 살아가리라 <8수>
특징:대구, 대유, 설의, 직유 다양한 표현
유교적 이념을 실천하는 삶(공명) vs 자연에서 사는 삶의 갈등
독백적 어조로 내면 심리 드러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