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특강

수능특강-구지가 정리

728x90
반응형

1. 집단의 활동이나 의식(儀式)과 관련된 측면이 많아 의식요, 노동요의 성격을 다분히 지니고 있 다. 즉, 집단 가무의 형태로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2. 고대 가요는 설화 속에 삽입되어 전한다. 이는 고대 가요가 서사적인 이야기를 전달하는 한 부 분이었음을 나타낸다. 그래서 배경 설화의 도움이 없으면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

3. 집단적, 서사적인 내용에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시가로 발전하였다.

5. 가요는 전하지 않고 배경 설화만 전하는 것이 많다.

♤♤♤♤♤♤♤♤♤♤♤♤♤♤♤♤♤♤♤♤♤♤♤♤♤♤♤♤♤♤♤♤♤♤♤♤♤♤♤♤♤♤♤♤♤♤♤♤♤♤♤♤♤♤♤♤♤

구 지 가(龜旨歌)

龜何龜何(구하구하)

首其現也(수기현야)

若不現也(약불현야)

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어라.

내밀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라.

<배경설화>

후한 광무제(光武帝) 18년, 즉 신라 유리왕 즉위 19년(A.D. 42) 3월 계욕일(액을 없애기 위하여 물가에서 목욕하며 노는 날)이다. 그 곳 북쪽의 구지에서 뭔가 부르는 수상한 소리가 났다. 무리 2, 3백인이 그 곳 구지봉에 모여들었다. 사람의 말소리 같은 것이 들렸다. 그러나 그 소리를 내는 자의 형상은 보이지 않고 소리만 나고 있을 뿐이다. 소리는 이렇게 물었다. “이 곳에 사람이 있는가 없는가?” 구간들은 응답했다. “우리들이 있다.” 소리는 또 물어 왔다. “내가 있는 곳이 어디인가?” 그들은 응답했다. “구지봉이다.” 소리는 또 말했다. “황천(皇天)에서 나에게 명하길 이 곳에 임하여 나라를 세우고 임금이 되라고 하셨다. 그래서 이 곳에 내려왔다. ㉠너희들은 모름지기 봉우리 위의 흙을 파면서 이렇게 노래하라. <생략> ㉡이 노래를 외치며 춤을 추어라. 그러면 곧 대왕을 맞아 너희들은 기뻐 날뛰게 될 것이다.” 구간들은 그 말대로 모두 기쁘게 노래 부르고 춤추었다. 노래하고 춤춘 지 얼마 되지 않아, 그들은 우러러 머리 위를 바라보았다. ㉢자색 줄이 하늘에서 드리워져 땅으로 닿아 왔다. 줄 끝을 찾아보았더니 붉은 보에 싸인 금합이 매달려 있었다. ㉣해같이 둥근 황금 알 여섯 개가 들어 있었다. 사람들은 모두 놀라고 기뻐했다. 그리고 그 알들을 향해 수없이 절들을 했다. 조금 있다 도로 보에 싸선 아도간의 집으로 가져갔다. 탑상에다 놓아두고 무리들은 각기 흩어졌다. 10여 일 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 여섯이 사람으로 변하여 그 중의 한 사람이 처음으로 나타났다고 하여 휘(諱)를 수로(首露)라 하고, 나라를 대가락(大駕洛) 또는 가야국(伽倻國)이라고 불렀으니, 곧 육가야(六伽倻)의 하나이고, 나머지 다섯 사람도 다섯 가야(伽倻)의 주인이 되었다.<삼국유사(三國遺事)>

☞‘㉠~㉣’에서 짐작할 수 있는 내용

㉠ : 집단가무의 형태, 또한 노동요의 성격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 : 영신군가(迎神君歌)로서의 주술요, 집단 의식요임을 알 수 있다.

㉢ : 천손 하강 신화 ㉣ : 난생(卵生) 신화

☞ ㉡에서 알 수 있는 고대인의 의식

- 군중의 합창에는 주술력, 마력이 있어서 소원을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함

☞ 천손 강림 신화 - 신화의 내용으로 보아 김수로왕 신화는 ‘천손(天孫) 하강(下降)’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화 - 단군신화, 동명성왕신화, 김알지신화, 박혁거세신화)

1. 구성

내 용

형식

1행

거북의 존재에 대한 환기

환기

2행

명령

명령

3행

조건적인 가정

가정

4행

요구를 거절할 경우를 대비한 위협

위협

2. 배경설화와 관련한 작품 이해

(1) 이 노래를 부른 궁극적인 목적

- 통치자의 강림을 바라는 가야인의 집단적 소원을 성취하기 위하여

① 이런 시적 화자의 소망이 단적으로 나타난 행 - 2행

② 소망을 이루고자 하는 표현 형태 - 위협(협박)

③ 위협이 가장 강하게 드러난 시구 - ‘구워 잡아 먹으리라’는 4행

(2) ‘거북’과 ‘머리’의 상징성

‘거북’은 소원을 들어주는 신령한 존재, 주술적인 대상이거나 신군(神君), 왕을 의미하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 또한 사람에게서 머리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듯이 ‘머리’는 ‘생명의 근원’으로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원하거나, ‘우두머리’, ‘왕’, ‘수로’를 의미한다고 보인다.

3. 표현상의 특징 - 요구와 위협의 구조

명령 어법으로 바라는 바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한 말을 듣지 않으면 구워 먹는다고 하여 위협적인 수단으로 소망의 간절함을 표현하고 있다.

4. 주제 - 새로운 생명(왕)의 강림을 소망함

5. 제목 - 배경설화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별칭이 있다. ☞ 영신군가(迎神君歌), 영신가, 가락국가

6. 문학사적 의의 - 현전 최고의 집단적 무요(舞謠), 주술성을 지닌 가장 오래된 노동요(勞動謠)

☞주술이란 화자가 청자의 태도 변화를 강력히 요구하는 성격을 띤 언어이다. 따라서 주술요란 노래 에 주술적인 힘이 있어 이러한 노래를 부르면 악귀가 물러간다든가, 천우신조가 일어난다고 믿고 부 르는 노래를 말한다.

 

 

 

반응형

'수능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특강-독을 차고 정리  (0) 2019.02.11
수능특강-상춘곡 정리  (2) 2019.02.08
수능특강-오백 년 도읍지를 정리  (0) 2019.02.07
수능특강-안민가 정리  (0) 2019.02.07
수능특강-원왕생가 정리  (0) 2019.02.03